美 “북과 양자회담 수용은 6者 참가국 이해 희생하는 것”

미 국무부는 20일(현지시간) 북한이 주장하고 있는 미북 양자회담에 대해 6자회담 참가국들의 이해에 반하는 일이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천명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뿐 아니라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6자회담 참가국 모두가 북한에 대해 우려를 갖고 있다”면서 “동북아 역내 우리 파트너들의 이해관계를 희생하면서 (북한과의) 양자협상을 선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우리가 6자회담 프로세스를 강력히 신뢰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부연설명 한 뒤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해서 비핵화를 위한 긍정적이고 검증가능한 조치를 취할 경우, (6자회담 틀안에서) 북한은 많은 양자대화를 가지면서 북한과 우리가 갖고 있는 우려사항들을 다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김명길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공사가 전날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를 만난 자리에서 미국과 직접 대화에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미 행정부의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크롤리 차관보는 “6자회담 프로세스는 북한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제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최상의 메커니즘”이라며 “우리는 6자회담 틀 내에서 북한과 양자대화를 가질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북한을 포용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거듭해서 밝혀왔다”며 “그러나 북한은 이행해야 할 책임과 의무사항을 충족시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선택은 북한이 해야 할 몫이다”이라며 공이 북한 코트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북한의 핵보유국 인정 여부와 관련, 크롤리 차관보는 “국제사회는 북한이 핵무장 국가가 돼서는 안된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며 “미국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할 준비는 돼 있지 않지만, 북한이 비핵화된 한반도의 일원으로서 국제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도울 준비는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오바마의 대북정책 기조가 북한의 핵보유국 불인정 정책에서 핵확산 차단으로 옮겨질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한 해명으로 해석된다.

크롤리 차관보는 “정말 궁금한 것은 북한이 비핵화돼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입장을 수용하고 앞으로 나아갈 준비가 되어 있는지 하는 점”이라며 “우리가 지속적으로 그들의 대답을 기다리고 있는 질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공사는 전날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와 면담을 통해 북한은 미국과의 직접대화라는 새로운 포맷을 원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협상틀과 관련 양국간 힘겨루기는 어느 누가 자신의 입장을 접고 상대의 입장을 수용하느냐는 기세싸움이 전개되고 있어 당분간 이같은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미북간의 첨예한 입장 대립 상황에서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최근 북한을 방문, 북한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을 만나 6자회담 재개방안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져 중국의 역할에 따라 의외로 쉽게 풀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