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보즈워스 北 방문하지 않을 것”

미국은 25일(현지시간) 북한이 내달 스티븐 보즈워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북한 방문을 희망하고 있다는 보도와 관련, 보즈워스는 북한을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입장을 밝혔다.

이언 켈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북한과 대화를 환영하지만 6자회담 내에서 가능하다”면서 “북한이 6자회담에 돌아오기 전에는 양자 대화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는 북한에 갈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켈리 대변인은 북한이 보즈워스 특별대표와 성 김 특사를 초청했느냐는 질문에는 부인하지 않으면서 “북한과의 소통에 어떤 성격도 부여하지 않겠다”고 말해 북한의 초청의사를 전달해 왔음을 시사했다.

북한은 이달 초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미 여기자 2명 석방을 위해 방북했을 시 보즈워스 특별대표와 성 김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의 북한 방문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캘리 대변인은 또, 한반도 비핵화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최선의 길을 관련국과 협의 중이며 보즈워스 특별대표도 아시아를 순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즈워스 특별대표는 9월중 한중일 방문을 관련국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6자회담 재개 의지를 밝히지 않으면서 미국과 양자회담을 추진하고 있어 미국이 주장해온 ‘6자회담 내 양자회담’ 입장과 배치되기 때문에 당분간 협상은 이뤄지기 힘들 전망이다. 또 북한의 요구에 순순히 응했을 때 그동안 관련국과의 공조를 흐트러트릴 수 있고, 북한에게도 잘못된 메지시를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미국이 북한을 6자회담에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한 차례의 양자회담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한중일러와 사전협의를 거쳐 동의가 이뤄질 경우, 방북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보즈워스 특별대표의 6자회담 관련국 순방도 이를 협의하기 위한 행보가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미 국무부는 최근 북한이 보이고 있는 유화적 태도가 바람직하지만 북한이 6자회담에 돌아올 의지가 있는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며 6자회담의 재개와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진전은 찾아볼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