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5일 북한에 억류됐던 여기자 2명과 북핵 문제의 분리 방침을 확인하면서 북미관계 개선은 북한의 비핵화 합의 및 책임 이행에 달려있다고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에 관계 개선의 길이 있음을 말해 왔다”면서 “더 이상 핵무기들을 개발하지 않고, 도발적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이 그것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방북이) 인도적 임무임을 매우 명확히 해 왔다”면서 “북한 정부가 국제사회의 기본적 규칙 내에서 활동한다는 확신을 우리는 갖고 싶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북한의 여기자 2명 석방이 북미관계에 변화를 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것(여기자 석방)은 다른 일로 보고 있다”면서 여기자 석방과 북핵 문제 분리 방침을 확인했다.
로버트 기브스 대변인은 “북한과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가장 좋은 길은 북한이 스스로 참여했던 합의들과 책임에 따라 행동할 때라고 북한이 결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클린턴 전 대통령과 김정일간의 회동이 북핵 문제의 전기로 이어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이번 방북의 목적이 아니었다”면서 “분명히 이번 방북은 우리가 기대할 어떤 것도 아니다”고 언급, 여기자 석방이 북핵문제에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는 기대하지 않았다.
한편 클린턴 전 대통령은 이날 오바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고 조만간 만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두 대통령이 곧 만나기를 희망한 것으로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조만간 이뤄질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 결과 보고가 오바마 정부의 추후 대북정책 마련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날 클린턴 전 대통령 일행이 도착한 로스앤젤레스 공항에는 커트 통 미 국무부 한국과장이 나간 것으로 확인돼 오바마 행정부가 1차 방북결과 보고를 방북팀으로부터 전해들은 것으로 관측된다.
로버트 우드 국무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핵폐기를 위한 국제적인 의무 사항을 준수하기를 희망하지만 우리는 지켜볼 수밖에 없다”면서 “핵협상 복귀 여부를 판단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그는 “공은 실질적으로 북한에 넘어가 있다”면서 “북한은 2005년 9월 공동합의에 명시된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면서 6자회담에 복귀하겠다고 다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