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린당 김원웅(金元雄) 의원의 ‘주한 미 대사 본국송환 발언’ 파문이 커지고 있다.
김 의원은 14일 “브시바오 주한 미국대사를 비엔나 외교협약에 따라 본국 송환에 따른 국회 결의안을 추진 검토에 변함이 없다”며 송환검토 의사를 재차 확인했다.
한나라당 이정현 수석부대변인은 “미 대사 소환 운운은 그 사람의 사상과 개성에서 비롯된 문제지만, 국민들의 정서와는 거리가 있다”면서 “입이 부르트게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노무현 대통령과 한번 상의해보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이어 “이처럼 개인적으로 한미동맹을 위협하는 발언을 하는 것이 열린우리당의 방식인지 묻고 싶다’면서 “열린우리당은 당론 차원인지 분명한 입장을 밝혀달라”고 말했다.
열린당 유재건(柳在乾) 의원도 이날 오전 당 확대간부회의에서 “(김의원이) ‘미 대사를 송환해라’고 말한 것은 김원웅 ‘애국지사’의 뜻이지, 당론이 아니다”며 논란이 당 차원으로 확대되는 것을 차단한 바 있다.
이런 당내외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김 의원은 “우리는 ‘신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비굴이 통해온 찌들린 위선의 외교의 옷을 벗어 던져야 한다”면서 “브시바오 대사의 말이 외교관으로서 부적절한 언행이 분명함에도 이에 대해 침묵하면서 본인의 주장에 대해 제동을 거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데일리NK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도 북한의 격앙된 반응을 들추며 목소리를 낮출 것을 촉구했다.
그는 “지금은 매우 크리티컬(위험한)한 시점이다”면서 “미국이 이런 조치를 취하면 북한의 반응이 어떨까 뻔히 예측할 수 있는데도 그런 언행을 쏟아내고 있다”며 북한의 입장을 살필 것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한 발 더 나가 “북한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모종의) 정치적 의도가 있지 않은지 의심스럽기까지 하다”며 ‘미대사 북한 때리기 의혹론’을 들고 나왔다.
그는 자신의 의견에 동의하는 의원들의 지지 연락이 온다고 말했다.
기자가 “브시바오 미 대사 송환 검토를 지지하는 의원이 몇 명이나 되느냐”고 묻는 질문에, “네 명 정도 된다”고 답변했다.
신주현 기자 shin@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