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대북제재와 달리 인도적 지원은 재개할 수 있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언 켈리 국무부 대변인은 25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계속 할 것이냐’는 질문에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많은 국가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해 왔으며, 고통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유엔의 대북제재 이후 원칙적 입장에서라도 미국의 대북 지원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하지만 켈리 대변인은 더 이상의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그는 대북 식량지원에 대한 검증 방법과 관련해 “그들(북한)이 많은 NGO들을 내쫓은 뒤 매우 어려워졌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3월 미국에 추가 식량지원을 거부한다고 통보하고, 자국 내에서 식량배급 활동을 하고 있는 국제 구호단체들에도 철수시킨 바 있다.
미국은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인 지난해 6월 북한이 핵 프로그램 신고서를 제출하고 평북 영변 핵원자로 냉각탑을 폭파하는 등 핵시설 불능화 작업에 적극 나선 것을 계기로 1500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해 식량지원을 재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서 40만t, 미국의 비정부기구(NGO)를 통해서 10만t 등 총 50만t 지원을 약속했으며, 지난 3월까지 16만9000t이 전달된 상태다.
당시 북한은 식량배급을 감독할 한국어 구사 요원의 증원을 거부했고, 지난해 10월 북한 전역에서 주민들의 영양상태 실태조사를 실시키로 합의했으나 북한은 당시 인구조사를 핑계로 조사를 연기한 뒤 이유없이 취소했던 것이 갈등이 됐다.
한편, 켈리 대변인은 북한에 억류중인 미국 여기자 문제와 관련해서는 “그들이 가족과 재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인도적 견지에서 즉각 석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들을 석방을 위해 “여러 다른 채널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여러 차례 언급했듯이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이 문제에 적극 관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