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가 미국에 있는 한인 이산가족의 상봉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재미 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 이차희 사무총장은 27일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해온 한인 동포들이 미 의회에서 이산가족상봉 법안 통과를 주도했던 마크 커크(공화·일리노이) 연방하원의원과 함께 다음달 24일 워싱턴DC에서 킹 인권특사를 만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총장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이산가족 상봉법안이 지난해 12월 상원 통과에 이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서명으로 발효된 후 국무부 측에서 만나자는 연락이 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장은 “커크 의원 측으로부터 법안이 통과됐다는 소식을 이번 달에 뒤늦게 전해들었다”면서 “일천만 이산가족위원회를 비롯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노력해온 단체 관계자들과 함께 킹 특사에게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커크 의원이 발의한 `이산가족상봉 법안’은 지난해 7월 하원을 통과한 데 이어 12월 13일 상원에서도 의결됐다.
이 법안은 “북한 문제를 다루는 고위 관리인 북한정책 특별대사에게 이산가족 문제를 우선으로 다뤄주고 필요하면 이 문제를 위한 조정관을 임명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커크 의원은 의회 모두 발언에서 “미국에는 10만~50만명의 이산가족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한국전쟁 후 아직 가족을 만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북한이 외교관계가 없어서 고령의 이산가족들은 북한의 가족들과 접촉하기 위해 암시장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이 총장은 전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