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13일 체제비난과 불법입경 혐의로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기자들의 석방을 위해 특사를 파견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국무부 이언 켈리 대변인은 14일 “미국이 두 기자를 조속히 석방할 것을 희망하지만, 이를 위해 평양에 특사를 파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고 미국의 소리 방송(VOA)이 보도했다.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발사에 따라 금융제재 등을 주도하면서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 시점에 ‘특사파견’이 자칫 북한에 잘못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인도적 문제와 정치적 문제를 분리 대응한다는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전략에 기인한다.
특히 여기자 문제를 핵·미사일 문제로 인한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기 위한 카드로 쓰려는 북한의 ‘정치적’ 셈법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오바마 행정부의 강인한 의지로 읽혀진다. 때문에 미국은 당분간 대북제재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켈리 대변인은 또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지난 10일 두 여기자들에 대한 즉각적인 사면 요구에 대해 “북한으로부터 뚜렷한 답변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우리는 가능한 한 조속히 이들을 석방해 줄 것을 정말 희망한다”고 북측의 조속한 석방을 거듭 촉구했다.
최근 한 국내 방송사에 의해 보도된 ‘김정일 췌장암 투병설’과 관련, 캘리 대변인은 “많은 것을 알지 못한다”며 구체적 답변을 회피했다.
이어 그는 ‘북한 내부에서 권력승계가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민감한 채널을 통해 나온 어떤 분석도 얘기할 수 없다”면서 “다른 모든 사람처럼 우리도 북한 관영통신 등 언론을 통해 북한에서 나오는 공식 발표를 매우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캘리 대변인은 “여러 차례 말한대로 우리는 북한의 핵 및 탄도미사일 기술 개발 계획 등 확산 활동을 정말 우려하고 있다”면서 “물론 평양 내의 정치적 변화에 대한 얘기들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중국 등과 김정일 건강문제에 대해 정보 등을 교환하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으로 답변은 하지 않으면서도 “한국이나 중국 모두와 양자적 측면에서 매우 자주 이런 것들을 논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