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25일 천안함 침몰사건에 대한 독자적 대응조치로 북한에 추가 금융제재를 시사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무 공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독자적 대북조치와 관련, “경제적 조치와 관련해 독자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있다”면서 추가 금융제재가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과거에 이를 성공적으로 실행했으며, 북한 정권에 압력을 넣는 방법들을 찾았다”면서 “이런 방안들이 (북한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런 조치를 취하는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문제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제기하는 문제로 이를 재검토하고 있다”면서도 “사실에 근거해 이 문제가 다뤄질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그는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대북 대응조치와 관련, “매우 강력하고 단호한 국제적 대응이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북한의 ‘남북관계 단절’ 선언에 대해서는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를 가진 국가 중 하나지만, 북한은 심지어 그들 스스로도 인정하는 실패한 경제를 가진 국가”라며 “관계를 단절하는 것보다 북한 주민의 이익을 더 해치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남북간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추가적인 (북한의) 도발들을 보고 싶지 않다”면서 “북한 지도부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행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찾기 위해 역내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백악관도 북한의 남북관계 단절 선언을 비판하며 “북한이 호전적이고 위협적인 행동을 중단해야만 한다”고 촉구했다.
벤저민 창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부대변인은 북한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사실’을 제시해야 한며, 더 큰 고립을 자초할 수 있는 공격적이고 위협적인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하원은 이날 한국 정부의 천안함 조사결과를 지지하며 북한을 규탄하고 국제사회의 대응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의결했다.
하원은 이날 오후 본회의를 열어 천안함 사건 관련 대북 규탄 결의안에 대한 표결을 실시, 찬성 411표, 반대 3표로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한국 정부의 조사 결과 보고서를 전적으로 지지하며, 천안함을 침몰시킨 북한을 가장 강한 어조로 규탄한다”면서 미국 및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