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北도끼만행’ 후 UN 외교戰서 北에 고전

미국은 지난 1976년 8월18일 북한군의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이후 유엔을 무대로 한 국제외교전에서 북한의 만행을 제대로 부각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북측의 역공세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미 국무부가 2008년 12월31일자로 비밀분류를 해제한 외교문서에는 브렌트 스카우크로프트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1976년 8월30일 백악관에서 윌리엄 스크랜톤 유엔주재 미국대사,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과 면담한 내용을 적은 메모를 통해 공개됐다.

미국 정부는 그해 9월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문제가 아예 논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재외공관을 통해 각 주재국에 미국의 입장과 북한측 주장의 문제점을 적극 알리도록 하는 등 ‘수세적 외교’를 펼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당시 8·18사건이 발생하자 당시 전투기와 항공모함을 동원, 북한에 대한 응징보복을 시사 하는 등의 무력시위를 벌여 북한 김일성으로부터 ‘유감 성명’을 전달받았다. 하지만 유엔을 무대로 한 2라운드 외교전에선 북한의 선전공세에 밀려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스카우크로프트 보좌관의 메모에 따르면 북한은 8·18사건 직후인 8월20일 비동맹 국가들의 지지 아래 한반도에서 외국군대의 개입과 침공을 종식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유엔에 제출했고 이에 맞서 한국과 미국 등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남북대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냈다.

당시 북한 결의안에는 31개국이 지지를 표한 반면에 한국과 미국이 낸 결의안 지지서명국은 19개에 불과했다고 밝혀 양측이 제기한 결의안에 대한 세대결에서 한국과 미국측 결의안이 열세를 보이고 있다고 스카우크로프트 보좌관은 밝혔다.

메모는 이어 “우리 측에 우호적인 결의안에 대한 추가서명자를 확보하고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지지핵심그룹’을 형성했다”면서 “북한은 자신들의 입장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최근 콜롬보 비동맹정상회의에서 광범위한 외교활동을 벌였다”며 양측의 외교전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메모는 “미군 장교 살해 및 이후 북한의 상대적인 유화노선 등 DMZ(비무장지대)에서 드러난 북한의 행동은 아마도 미군의 존재를 공격적이고, 한반도를 불안정하게 하는 세력으로 성격 지우려는 북한의 전략을 반영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번 유엔 총회 회기 우리의 전술적 목표는 유엔 총회 운영위원회로 하여금 모든 한반도 문제에 대한 논의를 연기토록 촉구하는 것”이라고 적고 있어 북한의 도끼만행에도 불구, 미국은 유엔 외교무대에서 오히려 수세적 입장이었음을 드러냈다.

이는 미국이 8·18도끼만행사건을 통해 북한 정권의 야만성을 부각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외국군대의 한반도 주둔 문제점만 드러내는 예상치 못한 상황 전개에 직면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그해 9월 미 국무부는 전 해외공관에 보낸 훈령을 통해 각 주재국에 한반도 문제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적극 설명할 것을 지시하고 ‘토킹 포인트(Talking Point)’까지 제시했다.

훈령은 “미국과, 한국의 우방들은 유엔 총회에서 무익한 충돌을 피하기를 선호하지만 일방적·친북한적 결의안의 도전에 맞설 것을 강요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친북 결의안은 한반도에 대한 경쟁적이고 비생산적인 논쟁을 강요하기 위한 분명한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면서 “한반도 미래에 대한 한국과의 협상 거부 및 남북대화 재개 실패를 호도하기 위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