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은 19일(현지시간) 북한 장성택 처형과 관련, “독재자들에 의한 이런 종류의 내부 행동(장성택 처형)들은 종종 (대외) 도발의 전조가 된다”고 밝혔다.
뎀프시 합참의장은 이날 펜타곤에서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과 함께 가진 기자회견에서 “(실제 도발이 일어난다면) 내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관심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우리는 분명히 도발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헤이글 장관도 “북한이 저지르는 행동의 불가측성이 우리 모두를 매우 우려하게 만들고 있으며 그 같은 불확실한 현실이 긴장을 고조시킨다”면서 “특히 그 같은 행동을 저지른 동기에 대한 의구심을 깊게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폐쇄돼 있고 투명성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북한은 외부세계와 아무런 연결이 되지 않아 예측 불가능한 상황속에서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우려들을 키운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 외교협회 산하 방지행동센터(CPA)는 19일(현지시간) 발간한 ‘2014 방지 우선순위 조사'(Preventive Priorities Survey 2014) 보고서에서 우려되는 ‘1등급'(Tier 1) 위협으로 북한 위기를 비롯해 10가지를 선정했다.
북한 위기의 경우, 발생 가능성은 중간(moderate) 정도이나 충격은 높은(high) 수준의 5대 안보위협 가운데 하나로 분류돼 ‘최우선 억지 대상’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군사도발, 내부 정정불안, 핵무기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관련 위협 등으로 심각한 북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북한발(發) 위협이 상위에 랭크된 것은 지난 2월 핵실험을 감행한 데다 핵무기 5개를 생산하기에 충분한 플루토늄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의 내부 정치적 불안도 상당히 우려된다”며 “이번 조사 이후 김정은의 고모부이자 2인자였던 장성택이 처형된 것도 한 사례”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