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 정부는 지난 5일 북한이 미사일 발사실험에 사용한 장거리 로켓 발사 추진체 회수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 방위성은 1단계 로켓 추진체가 떨어진 곳으로 추정되는 일본 북부 아키타(秋田)현 서쪽 330㎞ 지점에서 집중적인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6일 지지(時事)통신이 보도했다.
미국과 일본은 추진체를 인양해 북한의 로켓 발사 시도가 인공위성 발사 목적인지, 장거리 탄도미사일 실험 목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공해상에서 인양된 추진체가 기술적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로 판명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 행위에 제재 입장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에도 적지 않은 압박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또, 추진체를 통해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기술력을 면밀히 분석, 파악할 수 있기 때문으로 일본은 낙하지점에 잠수함을 포함 회수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방위성은 1단계 로켓의 낙하물이 떨어진 것으로 보이는 이 지역의 해수면이 폭 50m, 길이 3㎞에 걸쳐 주변보다 연하게 변색해 있는 것을 발견하고 집중적인 수색을 벌이고 있다.
낙하물체를 통해 노즐 구조, 연료 종류 등을 근거로 기술력과 부품 등을 통해 북한이 어떤 국가와 미사일 커넥션 관계를 유지해 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현재 일본 정부는 이란, 파키스탄, 시리아 등이 북한과 미사일 기술을 협력해 왔고, 발사 현장에는 옛 소련 붕괴 당시 북한으로 들어가 장기 체류 중인 러시아 기술자들이 직접 참가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가와무라 다케오 관방장관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 다음날 기자회견에서 “인공위성이 (지구) 궤도를 선회하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지 않다”며 “비상의 고도, 시간, 속도 등을 종합적이고 전문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소속 구상찬 한나라당 의원이 7일 대정부질문에서 “(북한의 로켓 추진체가) 하와이 동방 1500마일 근처에 82조각의 파편으로 떨어져 미국 군함들이 수색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종적인 낙하지점에서 잔해가 발견되더라도 대기권 밖을 나갔다가 해면에 충돌한 영향으로 물체의 형체를 정확하게 확인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