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북한은 오는 23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제3차 고위급 대화를 개최한다. 이번 대화는 김정은 체제 들어 첫 미북 대화라는 점에서 관심이 쏠린다.
미북은 지난해 12월 22일 베이징에서 제3차 고위급 대화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김정일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취소됐었다. 양측은 이번 대화에서 사실상 합의가 거의 마무리 된 것으로 알려진 북한의 비핵화 사전조치 이행 동의 및 미국의 24만t 대북 영양지원 등에 대한 추가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빅토리아 눌런드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글린 데이비스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오는 23일 베이징에서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 등 북한 대표단과 만나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공식대화 재개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눌런드 대변인은 “이번 베이징 대화는 우리가 갖고 있는 여러 의문에 대해 북한이 답변할 준비가 돼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24만t 대북 영양지원 등에 대한 추가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 해머 국무부 공보담당차관보 대행도 이날 브리핑에서 “이런 종류의 대화는 한국 등 6자회담 참가국들과의 협의를 요구한다”면서 “2005년 6자회담 공동성명과 유엔(UN) 결의안 이행 등에 대한 북한의 진정성 등을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머 차관보는 이와 함께 대북 식량(영양)지원 논의에 대해 “오늘 국무부 발표를 보면 로버트 킹 북한인권대사가 대표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이번 대화의 주요 초점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눌런드 대변인은 “북한이 영양지원에 대한 대화를 원하고 우리의 우려에 대한 답변을 갖고 있다면 그것을 청취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식량지원 협의 개최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북은 지난해 7월 미국 뉴욕, 10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1, 2차 고위급 회담을 갖고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중단, 6자회담 재개 문제 등을 논의했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대화 재개에 대해 김정은을 중심으로 하는 북한의 새 지도부가 앞으로 미국과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