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북한이 베이징(北京)에서 대북 식량(영양)지원 회담을 열어 세부절차를 논의하고 있다. 회담 이틀째인 8일 양측은 식량지원 분의 분배투명성 문제를 놓고 줄다리기 협상을 펼칠 것으로 보여 합의 도출 여부가 관심이다.
미국 측에서는 로버트 킹 북한 인권특사가, 북한 측에서는 안명훈 외무성 미국국 부국장이 수석대표로 나섰다. 미국 대표단에는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USAID)의 존 브라우스 부국장이 포함됐다.
미국은 지난달 말 베이징에서 열린 제3차 미북 고위급 회담에서 북한에 어린이와 임산부 등을 위한 24만t 규모의 영양지원을 약속했다.
이번 회담에서 양측은 지원 물품의 전달 방법과 시기, 관리 주체 등 기술적인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양측은 모니터링 규모의 방식에 견해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영양지원을 5~7세 영양부족 어린이와 임신부 대상으로 한정해 매달 매달 2만t씩 24만t의 영양지원을 하고 분배 상태를 점검하는 모니터 요원은 한국어 구사가 가능한 요원을 포함 30명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모니터링과 관련, 방문을 원하는 지역을 24시간 전에 통보하면 북한이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북한은 기존의 대북 지원 모니터링 수준을 고집하고 있어 양측간의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은 상태다. 회담 일정을 예정보다 하루 더 연장한 것도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다.
킹 특사는 7일 숙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오늘 많은 이슈를 논의했고 진전을 이뤄냈다”며 “해결해야 할 이슈들이 여전히 있어 내일 만난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은 관례에 따라 오전에는 북한 대사관에서, 오후에는 미국 대사관에서 진행됐다.
앞서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29일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대북 지원이 이뤄지기에 앞서 미국은 지원 식량이 의도한 수혜계층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북한과 분배감시 체제에 대한 합의를 이뤄야 한다”고 원칙적인 입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