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ㆍ日, 북핵 6자회담 복귀 6월말로 한정”

북한이 북핵 6자회담이 중단되지 1년인 오는 6월말까지 회담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등 ‘별도의 대책’을 검토하는 방안이 미국과 일본 정부에서 부상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經)신문이 7일 워싱턴발로 보도했다.

이같은 강경론이 부상하는 것은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놓고 시간을 끌면서 명실공히 핵무기보유국이 될지 모른다는 의심에서라고 신문은 전했다. 또 ▲회담이 1년 이상 방치되면 북한의 핵보유 선언을 묵인하는 인상이 강하고 ▲핵보유를 노리는 다른 국가에 약점을 잡힐 수 있다는 것 등도 이유라는 것이다.

미국 공화당 관계자는 “6자회담을 존속시킬지 여부가 물밑에서 검토되고 있다” 며 ‘기한 설정론’이 다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도 최근 미국 당국과의 비공식 접촉에서 이같은 기한 설정론을 제기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일본 외상도 지난달 일본을 방문한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회담에서 “6자회담이 성과를 낳지 못하면 새로운 대책을 검토하는 것이 어떤가”라고 의사를 타진했었다.

다만 신문은 한국과 중국이 이같은 방안에 부정적이어서 이 문제로 일본과 한국, 일본과 중국 관계가 더욱 악화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讀賣)신문 등 다른 현지 언론은 6자회담이 다음달말 재개될 수 있다는 일각의 기대감이 있으나 일본 정부는 낙관적이지 않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북한측이 지난달말 “6자회담은 참가국이 평등한 자세로 문제를 해결하는 군축회담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 사실에 주목, 북한측의 조기 복귀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한편 일본과 중국 외무장관은 오는 17일 베이징(北經)에서 회담을 갖고 6자회담의 조기 재개방안 모색과 동중국해 가스전 마찰 등 외교현안을 절충할 것이라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도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