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규 경제부총리는 선진국과 신흥경제대국 모임인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권 부총리는 17~18일(현지시각)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북한이 동북아 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북한개발에 소요되는 추가재원 마련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권 부총리는 통일로 인한 재정위험과 관련 “총투자비용과 재정부담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은 독일 사례보다 내부적으로 발전과정을 통해 독자적으로 시장경제체제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체코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 부총리는 국제금융시장의 위기와 신흥시장의 유동성 팽창에 대해 “과도한 유동성과 쏠림현상의 방지를 위해 금융당국의 사전 경고 역할 및 국가간 정보공유와 협조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또 “신흥시장국의 유동성 팽창이 국제금융위기로 발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국제적 정책공조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하다”며 “선진국의 통화당국은 글로벌 과잉유동성 해소과정이 점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조합을 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권 부총리는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과의 면담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신속한 추진과 국제통화기금(IMF) 쿼터개혁에 대해 논의했다.
권 부총리와 폴슨 장관은 양국 정부가 한미 FTA에 대한 의회의 승인을 받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권 부총리는 한국이 EU, 캐나다 등과 FTA 협상을 활발히 벌이고 있는 만큼 한국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미국이 의회승인을 신속히 진행하는 것이 미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권 부총리는 트레버 매뉴얼 남아공 재무장관을 만나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지 투표에서 여수를 지지해줄 것을 호소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