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統獨 상징도시서 ‘한반도통일 비전’ 밝힌다

독일을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각) 통독(統獨)의 상징도시인 드레스덴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의 확대와 남북경협의 다변화, 이산가족상봉의 정례화 등의 대북 접근을 담은 연설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20분간 진행되는 박 대통령의 연설은 국내 TV로도 생중계될 예정이다.


이번 드레스덴 연설을 계기로 박 대통령은 자신이 위원장으로 있는 ‘통일준비위원회’를 중심으로 통일기반구축 작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 등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이날 드레스덴 공대에서 올해 초 제기한 ‘통일대박론’을 뒷받침하는 진전된 통일 구상을 내놓는다. 일부에선 이 연설이 구체적 통일구상과 대북 제안을 담은 ‘통일 독트린’의 성격을 띠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연설에서 북한 비핵화를 전제로 한 남북경협과 대북지원의 대대적 확대를 골자로 한 포괄적 통일대비 구상, 통일 한반도의 청사진 등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핵 포기 시 낙후한 인프라 건설, 주민 생활고 해결 등을 위한 경제 분야의 협력을 넘어 정치와 행정·교육·문화 교류까지 포함하는 대북지원 방안이 담기는 것이다.


특히 박 대통령은 ‘북핵 불용’이라는 확고한 입장을 거듭 강조하면서 북한이 ‘핵무력-경제발전 병진노선’을 포기하지 않고 핵무장을 지속할 경우 국제사회가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재차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또 북한 주민과의 동질성 회복을 위해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원칙에 입각한 인도적 지원을 추진하고 문화와 체육 등 민간교류 등의 입장도 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영유아 등 고통받는 취약층에 대해서는 남북 정치상황과 관계없이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것도 연설에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기존에 밝힌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 제안도 북한에 거듭 강조할 것으로 알려져 북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도 주목된다.


한편 박 대통령이 통일 구상을 담은 연설의 장소로 드레스덴 공대를 선택한 것은 드레스덴이 독일 통일의 상징적 장소라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잿더미가 됐으나 통독 후 연방정부의 경제구조개선 사업 등에 힘입어 독일을 넘어 유럽의 대표적 과학비즈니스 도시로 탈바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