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3일 오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감행하지 않도록 설득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시 주석과 통화를 한 것은 최근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가림막 설치와 잦은 차량 움직임 등 4차 핵실험 강행 조짐이 보이면서 중국이 북한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라는 점을 감안한 조치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통화에서 “중국이 북한의 핵보유와 추가 핵실험에 대해 반대 입장을 견지하고, 북한을 설득하는 노력을 해준 데 대해 감사하다”면서 “북한의 추가 핵실험은 역내에서의 군비 경쟁과 핵 도미노 현상을 자극해 동북아 안보지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이어 “6자회담 재개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고 우리 정부가 꾸준히 추진하고자 하는 한반도 프로세스와 남북관계 개선 노력도 동력을 잃게 될 수 있는 만큼 북한에 대한 추가적 설득 노력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지난달 독일에서 발표한 ‘드레스덴 제안’에 대해서도 시 주석에게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이러한 방안은 한반도가 평화의 길로 가고, 남북간의 동질성 회복과 신뢰구축을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중국은 북한 무역의 90%와 경제지원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큰 영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가 평화의 길로 갈 수 있도록 중국 측이 계속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시 주석은 “한반도 정세에서 긴장 고조를 막는 것은 한중 양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며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측 간 대화를 설득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시 주석은 “북한의 핵보유 반대에 대해서는 한중 양국이 서로 일치된 입장을 갖고 있다”며 “특히 박 대통령이 제안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지지하며 한반도 자주 평화통일을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두 정상은 통화에서 양국 간 긴밀한 전략적 소통을 바탕으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가 내실있게 발전하고 있음을 평가했으며, 올해에도 시 주석 방한 등을 통해 양국관계의 양호한 발전추세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특히 박 대통령은 시 주석의 방한을 재차 초청했으며, 시 주석은 오는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때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특정 갱도에 설치됐던 가림막도 치워진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방부는 이날 “북한은 언제든 기술적으로 핵실험을 할 수 있는 단계에 있고 사실상 모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