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정부 내 ‘北로켓=인공위성’ 의견 제기돼

북한이 쏘아 올릴 발사체에 대해 일본 정부 내에서 인공위성일 수 있다는 의견이 부상하고 있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2일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의 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 “이란의 인공위성 발사 기술이 북한에 제공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다른 정부 관계자도 “간단한 통신기능을 보유, 지구를 몇 회 돌 정도의 인공위성이라면 북한도 제조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 신문은 일각에서는 “실제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것이 아니라 미사일 실험을 은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이 인공위성을 탑재한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본은 한국, 미국과 함께 인공위성 발사의 경우도 미사일 발사 기술은 매우 흡사해 종류와 관계없이 북한에 탄도미사일 계획 포기를 요구한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의 위반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북한은 이란이 지난 2월 인공위성체 ‘사피르 2호’ 발사 실험에 기술자를 장기간 이란에 파견, 미사일의 제어장치나 유도장치의 설계 등의 협력해 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북한이 이번 발사할 물체가 인공위성체 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29일 산케이 신문은 3월초 이란 대표단 15명이 북한에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전했다. 북한을 방문 중인 것은 이란의 미사일과 위성 개발에 참여 중인 이란의 샤히드 헤마트 인더스트리얼 그룹(SHIG) 간부이며, SHIG 기술자들은 2006년 7월 대포동1호 발사 때도 혁명수비대 미사일 전문가들과 함께 방북, 미사일 발사를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또, 신문은 북한과 이란은 2006년 7월 실패로 끝난 대포동2호 발사 때에 협력했고, 지난 2월의 이란 위성발사 데이터도 공유하고 있다며 이란의 데이터가 이번 북한의 발사에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대북전문가도 북한이 이란과 미사일 기술을 협력해 온 점을 미뤄볼 때 북한도 이란과 마찬가지로 초보적인 시험용 인공위성을 탑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