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29일 각의에서 아베 신조(安倍晉三)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납치문제대책본부를 설치하기로 공식 결정했다.
이 기구는 1970-80년대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관련 정보수집과 피해자 가족지원을 포함한 종합 대책을 다루게 된다.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대책본부는 각료 전원으로 구성되며 북한과의 협상전략과 정보 수집 및 분석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베 총리가 이날 오전 각의에서 “일본 정부는 대화와 압력정책에 입각, 생존 납치피해자 모두가 돌아오도록 일체가 되어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2002년 일본인 13명을 납치했다고 시인했으나 일본은 피랍자가 더 많고 생존자가 남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납치문제대책본부는 상설기구로 설치됐다.
일본 관리들은 첫 회의가 내달 초 소집돼 난관에 봉착한 대북(對北)대화 재개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임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 시절에는 관방부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납치문제특명팀이 비상설기구로 운영됐었다.
관리들은 신설된 납치문제대책본부는 고이즈미 행정부의 ’대화와 압력’ 정책을 계승하면서 북한에 대한 국제적 압력강화 등 일본의 대북(對北)기본정책을 입안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부본부장은 납치문제 담당장관을 겸하는 시오자키 관방장관이, 사무국장은 나카야마 교코(中山恭子) 총리보좌관이 각각 맡는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