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사임 의사를 표명한 일본의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총리 후임으로 일본 내 대표적인 대북 강경파 의원으로 꼽히는 아소 다로(麻生太郞) 자민당 간사장이 거론되고 있어, 향후 일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후쿠다 총리는 이날 밤 총리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새로운 체제 하에서 정책을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사임을 결심하게 됐다”고 밝혔다. 후쿠다 총리의 퇴진 표명으로 자만당은 조기에 총재 선거를 실시해, 후임 총리를 선출하게 된다.
아베 내각 시절 외상을 역임했던 아소 간사장은 아베 총리와 함께 북한 핵실험 이후 대북 강경정책을 주도했다. 대북 경제 제재를 앞장서서 추진했고, 이후 북한이 6자회담에서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일 때마다 제재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해왔다. 일각에서는 이 때문에 후쿠다 총리를 ‘비둘기파’ 아소 간사장을 ‘매파’로 비유하기도 한다.
아소 간사장은 그동안 언론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북일 관계를 풀어가는 데 있어 ‘대화와 압력’을 병행하겠다는 원칙을 재차 강조해왔다. 그러나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있지만 건설적인 대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압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말하며, 압력에 치중할 것임을 시사했다.
또한 아소 간사장은 외상 재임 당시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에 있어서도 “북한은 대화만으로는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며 “일본 정부는 대북압력강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의지를 표명해왔다.
“대북 압력을 포기하지는 않겠지만, 그들을 대화의 장으로 불러내기 위해 다른 방법도 적극 고려해 볼 것”이라는 후쿠다 총리의 대화 노선 중시 방침과는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후쿠다 내각 당시 합의된 북한의 ‘납치문제 재조사’와 이에 상응한 대북 제재 일부 해제가 차기 내각에서 어떤 방향으로 실행될 지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대북 강경정책을 주도해 온 아소 간사장이 후임 총리가 될 경우, 북한 측의 격렬한 반발도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선양에서 열린 일북 실무자협의에서 북한이 납치문제재조사위를 설치, 조사에 착수할 경우 인적 왕래 금지 등 일부 제재 조치를 해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한편, 일본 정부 내에서는 북한이 금주 중 재조사위원회의 설치와 개시를 통보해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으나, 북한이 차기 정권의 대응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당분간 관망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