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김씨 회견은 당국 각본 따른 연극’

일본 언론은 30일 김영남씨가 기자회견에서 밝힌 내용은 “예상대로” 북한 당국의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된 엉터리라고 평가했다.

주요 신문들은 김씨 회견기사를 1면과 종합면, 사회면 등에 나눠 싣고 발언에 의문점이 많으며 북한이 그동안 해온 주장과 달라진 게 없다고 지적했다.

도쿄(東京)에서 발행되는 주요 일간지 6개중 5개지가 김씨의 기자회견을 사설로 다뤘으나 “북한 대변으로 일관”, “회견도 공작의 일환인가”, “조작된 회견의 서글픔” 등 부정적인 제목 일색이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사설에서 “북한은 한국인 납치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북한 국내에서 당국의 감시하에 이뤄진 회견에서 자유로운 발언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이 신문은 김씨 회견은 북한의 불성실한 자세를 부각시켜 일본 국내의 강한 불신감을 증폭시켰다면서 그를 일본에 보내 납치피해자 가족 등에게서 직접 질문을 받도록 하라고 제의했다.

요미우리(讀賣)신문도 “당국의 시나리오를 되풀이한 발언”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북한은 김씨 회견으로 납치문제를 끝내려는 전략이었지만 거꾸로 꼬리가 드러났다고 말했다.

특히 자신은 “납치된 것이 아니다”라는 김씨의 발언은 “인간의 생사와 가족의 운명까지도 희롱하는 북한의 비정한 수법을 드러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이니치(每日)신문도 김씨 회견은 “북한 대변자로서의 말밖에 없었다”면서 취재단에 미리 질문서를 내도록 한데서도 알 수 있듯 당국이 사전에 시나리오를 쓰는 등 면밀히 준비했다고 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마이니치는 김씨 회견의 가장 큰 목적은 한국 국민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납치가 사회문제가 되면 북한에 대한 비판이 강해지고 이 문제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연대도 강화돼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고 한국의 지원도 받기 어려워지는 상황을 피하려는 계산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산케이(産經)신문은 “시나리오에 따른 연출”, 도쿄신문은 “이것도 공작의 일환인가”라는 제목으로 사설을 싣고 김씨 회견으로 오히려 북한 군사독재체제의 잔혹성이 부각됐다고 지적했다.

스즈키 세이지(鈴木政二) 관방부장관은 “북한이 그렇게 좋은 나라라면 어머니에게 편지를 쓰거나 전화를 걸게했어야 하지 않았느냐”면서 “전혀 믿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