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황장엽 장례격 어떻게?…”사회장 가능성”







▲故황장엽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장 주요 인적사항 /김봉섭 기자

황장엽(87)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장(전 노동당 비서)의 장례위원회는 황 위원장의 부검이 끝나는대로 가족과 지인, 소속 단체와 경찰의 협의를 거쳐 11일 경에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장례 규모와 절차는 장례위원회가 정식 구성된 이후에 본격 논의될 예정이다. 황 위원장이 입국 당시 부총리급 예우를 받은 만큼 이에 합당한 처우가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 중론이다. 


황 위원장의 한 측근은 10일 “황 위원장 자체가 마땅한 전례가 없는 특별한 인물이라 정부 내에서 여러가지 조율이 필요할 것”이라면서도 “일단 평소 황 위원장 스스로가 사상적 계승자라고 지목해온 ‘시대정신 그룹’과 북한민주화위원회 등 탈북자 단체들, 황 위원장이 이끌어왔던 민주주의정치철학연구소의 인사들이 정부와 장례위원회 구성 및 장례절차와 관련된 논의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장례격은 ‘사회장’이 유력해 보인다. 황 전 비서가 정부의 공직을 거친 적이 없다는 점에서 법률이 정한 국민장이나 국장으로 치뤄지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회장은 특별한 법률적 근거는 없으나 국가 발전에 현저한 공훈을 남김으로써 국민의 존경을 받는 인사가 타계했을 때 고인이 생전에 종사했던 분야의 관련단체가 중심이 되어 각계 인사를 망라한 장의위원회를 구성한 후 치르는 장례의식이다.


지금까지는 정부수립이후의 사회장 대상은 김창숙(金昌淑) 전 성균관대총장, 김병로(金炳魯) 전 대법원장, 이강(李堈) 애국지사 등 50여명에 이른다.


황 위원장의 신변과 경호 업무를 경찰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장례 절차 전반은 경찰과 협의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정될 예정이다. 


황 위원장의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 330호에 마련됐다. 경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병원 주변에 경찰 병력을 배치하고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한다는 방침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장례위원회 위원장으로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 거론되고 있다.


경찰과 함께 황 위원장의 장례 절차를 협의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황 위원장의 수양딸로 알려진 김 모 씨는 김 전 대통령이 장례위원장을 맡아주었으면 하지만 김 전 대통령의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해 전직 총리 중 한사람이 맡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자신의 재임기간인 1997년 황 위원장이 한국으로 망명 당시 외교적 노력을 통해 황 위원장의 한국입국을 성사시켰다. 김 전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황 위원장의 신변과 활동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표해오고 있다.


노 전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황 전 비서가 매달 한 차례씩 상도동 김 전 대통령 자택을 찾아 오찬을 함께하며 북한의 민주화에 대한 의견을 나눠온 것으로 알려졌다.


조만간 꾸려지게 될 장례위원회에서는 황 위원장의 장례일정과 규모 그리고 장지(葬地)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장지는 국립 현충원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장례위원회와 정부 간의 협의를 통해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