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6월 말부터 9월까지 불과 3개월 사이 남한 내 국회의원, 법조인, 행정공무원 등 지식인 계층 8만 여명이 북한군에 납치됐다.
영문도 모른 채 북한으로 끌려가야 했던 10만 여명의 납북자들. 하루아침에 가장을 잃고 56년의 세월을 모진 운명 탓로 감내해야했던 가족들의 고통은 여전하다.
그러나 이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전시 납북자에 대한 정부의 공식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심지어 언제 어떻게 몇명이 납치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도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
납북자 가족들은 정부를 믿고 기다리기 보다는 스스로 발 벗고 나서는 쪽을 택했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이사장 이미일) 산하 한국전쟁납북사건자료원과 강릉대 김명호 경영학과 교수는 13일 6.25전쟁 납북자 실태의 실증적 분석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전쟁 발발 후 3개월간 전국의 지식인 계층이 계획적으로 납치되었다는 사실을 규명해냈다. 이는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자행된 명백히 계획된 범죄행위라는 점을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또한 보고서는 결론 부분에서 “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과거사 청산작업’의 일환으로, 6.25 전쟁 당시 납치자 문제에 대해 진실을 밝히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또한 그동안 실추된 납북자들의 명예를 복원시키고, 유가족들의 바램인 납북자들의 생사확인을 앞장서 줄 것”을 촉구했다.
40 페이지 분량으로 된 보고서는 전시 납북자 현황과 발생 배경, 그 결과에 대해 내밀한 분석을 담고있다.
1. 6.25전쟁 당시 북한에 의한 납치 피해자는 몇 명인가?
6․25전쟁 납북자 실태분석을 위해 공보처 통계국 작성 『서울특별시 피해자 명부』(2,438명), 대한민국 정부 발행 『6․25사변 피납치자 명부』(82,959명), 해공 신익희 선생 유품에서 나온 『6․25사변 피랍인사 명부』(2,316명), 1956년 대한적십자사의 『실향사민 등록자 명단』(7,034명), 1954년 내무부 치안국의 『피납치자 명부』(17,940명) 등 5개 문서에 등재된 명단을 토대로 했다.
3개월에 걸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통해 5개 문서에 등재된 112,687명 가운데 중복된 명단을 제외하고 총 96,013명의 납북자 명단이 확인됐다.
이 가운데는 1,842명(1.9%)의 여성들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에 비하여 납치 여성의 숫자가 매우 적지만 김일성의 납치 행각에 여성이 2천명 가까이 포함된 것은 적지않은 충격을 던져준다.
연령대 별로는 당시 나이을 기준으로 10대가 20,785명(21.6%), 20대가 51,436명(53.6%), 30대가 14,773명(15.4%)으로, 10~20대의 납치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38명의 10세 이하의 영아 및 어린이들도 납북된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영아들은 대부분 어머니의 등에 업혀 납북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60세 이상의 고령자들도 746명이 포함됐다.
|
서울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도 |
경상도 |
전라도 |
합계 |
남자 |
21,760 |
18,024 |
11,350 |
23,303 |
9,387 |
10,114 |
93,938 |
여자 |
575 |
246 |
25 |
361 |
116 |
519 |
1,842 |
미기재 |
13 |
0 |
0 |
0 |
0 |
220 |
233 |
합계 |
22,348 |
18,270 |
11,375 |
23,664 |
9,503 |
10,853 |
96,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