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곤 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은 8일 “(중국에) 직접적인 통일외교를 전개하기보다 장기적인 전략하에 점진적으로 중국이 한국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켜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소장은 이날 통일연구원 개원 23주년을 맞아 개최한 학술회의에서 “대중국 통일정책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전 소장은 이어 “중국의 입장에서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기 어려운 딜레마가 있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반도 통일에 대한 범민족적 의지를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통일이 대세적인 당위의 문제라는 분위기를 고조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까지 중국이 한국 주도의 통일을 지지하고 있다는 구체적인 행동은 보여주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미국과의 경쟁에서 북한의 전략적 가치가 부각되면서 ‘북한 껴안기’를 지속해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전 소장은 “박근혜 정부가 제시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중국의 기대가 증대하고 한중정상회담을 통한 양국의 공공외교 활성화를 위한 포럼이 개최되고 있다”며 “중국의 다양한 대상을 상대로 통일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공공외교 방식을 접목시킬 초보적 환경이 마련됐다”며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대중 통일외교를 당부했다.
특히 전 소장은 한국의 대중 통일 공공외교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적지 않은 시일과 시행착오도 필요하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 대중국 통일 공공외교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환경 조성 ▲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신뢰형성 및 구축 등을 제시했다.
토론자로 나선 신상진 광운대 교수는 “중국의 대북정책과 한반도 통일 문제는 당 중앙 최고지도부가 결정하므로 대중 공공외교는 한계가 있다”면서 “북한 붕괴를 원하지 않는 중국 정부로부터 한국 주도의 통일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차원에서도 많은 인내심과 체계적인 노력을 전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이어 “중국 정부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민간을 대상으로 한 통일 공공외교 노력을 체계적으로 전개해야 한다”면서 “정부, 민간 전문가, 기업 및 언론 등이 역할분담을 통해 입체적으로 중국 내 통일지지 분위기를 조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