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J 햇볕정책 후계자’를 자임하며 한나라당을 뛰쳐나가 범여권 구애대상 1순위가 된 손학규 전 경지지사가 최근 정부의 대북 쌀 지원 유보 결정을 비판하고 나섰다.
손 전 지사는 이날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총동우회 주최 초청 강연에서 “북에 쌀 40만톤 지원하는 걸 중단하기로 했다 했을 때 잘하는 일인가 하고 고개를 갸우뚱 했다”고 소회했다.
그는 “2∙13합의가 이행되면 어차피 가다가 중단하고 다시 하고 우여곡절이 있을 것”이라며 “쌀 지원이 중단되었다 할 때 마음이 안타까웠던 것이 소신 있게 평화를 추진한다면 국민 반발이 있더라도 무마를 하면서 남북관계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남북관계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북한의 2·13합의 이행과 관계 없이 대북지원을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 손 전 지사의 본론이다.
손 전 지사는 한나라당에 몸담고 있던 지난해 10월 북한 핵실험 직후 “북핵은 어떤 경우에도 용납할 수 없다. 벌써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는 행동들이 정부와 여당에서 나타나는데 이를 인정하는 순간 우리는 북한에 조공을 바치는 신세로 전락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손 전 지사는 이날 “북의 경직된 입장에는 강경한 입장 취하고 북이 유연한 입장 보이면 유연한 입장을 보이는 게 상식이지만, ‘행동 대 행동’ 원칙을 좁게 해석하고 상호주의 원칙을 엄격히 하고, 일시적 관계로만 해석하면 주도권을 잡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 전 지사는 “북한은 지금 군사력으로 비교할 수 있는 그런 체제가 아니다”며 “GDP기준으로 하면 15배 정도 차이가 나는 상황에서 대북 포용정책은 북의 개혁개방을 이끌어 내 남북통일의 기초가 될 수 있다”며 ‘햇볕정책’ 계승의지를 분명히 했다.
올해로 7주년이 되는 6∙15공동선언과 관련해 손 전 지사는 “쌀문제로 어색한 관계가 되어 안 가게 되었지만 615 공동성명은 상당한 의미가 있고 남북관계의 새로운 전기가 시작되었다 봐도 큰 잘못이 아니다”며 큰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범여권 대통합과 관련, “과거지향적, 냉전지향적 정치세력의 집권을 막고 평화지향적인 세력이 집권할 수 있도록 커다란 의미의 대통합, 대단결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며 “그것이 내가 다른 무엇보다 앞장서서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해 대통합 참여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자신의 남북 철도연결사업을 언급하며 “지금 우리가 내륙운하 할 때인가, 조심스럽긴 하지만 한마디로 한심해죽겠다”며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한반도 대운하 공약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