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GO들의 이념적 양극화가 한반도 평화 형성에 심각한 장애가 된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영태 통일연구원 북한실장은 “남한의 평화활동 민간단체(NGO)들은 이념 문제로 NGO는 크게 양극화돼 있으며, 서로가 발목을 잡아 같이 가라앉고 있다”고 주장했다.
16일 오후 중앙일보 시민사회연구소와 시민사회포럼(대표 이종훈) 공동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동북아 평화와 NGO’ 국제심포지엄에서 정 실장은 이같이 주장하고 한국 평화운동은 진보적 평화운동 대 보수적 평화운동의 양극단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양극단의 평화NGO는 친북조직과 반북조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며 “한반도 평화 형성을 위해서는 이 양극단의 평화운동을 순화시키고 상호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사회 NGO 탄생 배경을 적대적 상호작용으로 분석했다. “북한과 미국의 갈등은 한반도 전쟁위기를 고조시켰고 이 가운데 평화통일, 반미자주 운동이 크게 발전했다”면서 “반미운동 중심의 진보적 평화운동은 미국이 한반도 평화 유지에 필수라는 보수적 평화운동을 불러일으켰다”고 분석했다.
한편, 데니스 멕나마라 조지타운대 교수는 “회사, 노동단체, 학계 등 광범위한 NGO 지식네트워크는 아시아의 흐름을 형성하는데 고유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동북아 평화를 위한 NGO의 역할이 크다고 강조했다.
서보강 중국 인민일보 서울지국장도 “동북아는 다양한 나라들이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며 “NGO들은 포용성, 평등성, 다양성을 바탕으로 교류 협력해야 할 것”을 주장했다.
반면 NGO 역할 한계를 지적한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아무리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해도 정치적, 군사적 문제가 크게 충돌한다면 근본적으로 퇴행하는 것이 국제관계였다”며 “NGO가 국가 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는 주장은 비약”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북한의 예를 들면서 “우리 정부가 햇볕정책으로 끊임없이 대북포용자세를 놓지 않았음에도 북한은 근본이 바뀌지 않았다”면서 “기능적인 협력이 전통적인 군사, 정치 협력의 진전을 불러 올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다양한 NGO단체 대표들이 참여하여 토론을 벌인 이날 심포지엄에는 노정선 연세대 교수, 데니스 멕나마라 조지타운대 교수, 정영태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서보강 인민일보 서울지국장, 이신화 고려대 교수, 이종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평화나눔센터 소장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