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 12일 고위급 회담…”한미훈련 중단 요구할듯”

통일부는 남북이 12일 판문점 우리 측 지역 평화의 집에서 차관급 고위급 회담을 하기로 전격 합의했다고 11일 밝혔다.


박근혜 정부 들어 남북 간 고위급 회담이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우리 측에서는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이, 북측에서는 원동연 통일전선부 부부장이 수석대표 등이 참석한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측은 지난 8일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고위급 접촉을 전격적으로 제안해왔고 남북은 이후 수차례 물밑 협의를 통해 11일 최종 합의를 했다. 북측은 이번 접촉에 ‘청와대 관계자’가 참석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이번 고위급 접촉에서 사전에 특별한 의제를 정해놓지 않고 남북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이번 회담에서는 사전에 정해진 의제는 없으나 금번 이산가족 상봉의 원활한 진행 및 정례화 등 주요 관심 사항에 대해 협의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번 고위급 회담에서 이산가족 상봉 관련 내용을 주되게 논의될 가능성이 높지만 향후 남북관계 전반에 관련된 의제 등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박 정부 들어 처음 열리는 고위급 회담이라는 점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 및 남북경협과 이산상봉 행사에 따른 대북 지원 등에 대해서도 논의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수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데일리NK에 “김정은이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을 언급한 이후 국방위 중대제안, 군의 대남비방 중지 등의 연장선으로 통전부에서 대남 문제 개선을 가시적인 결과로 만들어야 한다는 압박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위원은 “북한은 한미연합훈련 중지와 축소를 거론하면서 기선제압을 노린 후 자신이 원하는 금강산 관광 등 경협 문제도 논의하려고 할 것”이라면서 “결국 이산가족 상봉을 미끼로 남남갈등과 한미동맹의 균열 등을 꾀하려는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