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 신종플루 발병과 관련 치료제 50만명 분(냉장트럭 8대)을 18일 경의선 육로를 통해 북측에 전달할 계획이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북한에 신종플루 치료제 등을 지원하기 위해서 판문점 연락단 채널을 통해서 세부지원절차 등을 협의해왔다”면서 “순수 인도적 차원에서 치료제를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지원한다는 방침에 따라 18일 경의선 육로를 통해서 개성으로 치료제 등 지원물자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치료제는 항온 유지가 가능한 냉장트럭 8대로 운반할 예정”이라며 “그동안 대북인도지원 물자전달 등에 준용을 해왔던 남북적십자사의 구호물자 전달 절차에 따라서 북측에 전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북측에 전달되는 우리 정부의 인도적 지원 물자는 타미플루 40만 명 분, 리렌자 10만 명분, 10억 원 상당의 손세정제 등 총 178억 상당의 규모다.
천 대변인은 또 “우리 측 인도요원이 치료제 등 지원물자를 전달하고 북측으로부터 인수증을 수령할 것”이라면서 “아울러서 지원물자 전달 이후에 북측으로부터 문건으로 분배 내역을 통보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원물자가 의약품, 치료제라는 점을 감안해 우리 측 인도요원 중에 의사 등 전문가가 포함될 예정이고 지원물자 전달과정에서 복용방법설명 등 주의사항을 북측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남북 당국은 18일까지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추가적인 합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논의를 계속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 내부에서는 신종플루 치료제가 쌀, 옥수수 등 식량과 달리 전용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 하에 분배 모니터렁 대책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정부가 이번에 북측에 요구한 ‘분배결과 보고서’는 당국차원의 대북지원에서는 가장 낮은 수준의 모니터링이다.
그러나 방역체계가 비교적 우수한 한국에서도 감기 증상 만으로도 타미플루를 처방 받으려는 집단 심리현상이 발생했던 전례를 볼 때, 이번 치료제 지원이 평양지역과 간부층에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