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태어나 자란 탈북자 출신 대학생과 남한에서 태어나서 자란 대학생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정부의 대북정책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이 1일 한국국방학회와 공동으로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남북한 학생들이 본 한반도, 그리고 한반도 문제’ 토론회에서는 남과 북으로 출생지가 다른 대학생들이 각각 4명씩 토론자로 나섰다.
이들은 김대중 정부 시절의 햇볕정책과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비핵개방 3천’에 진지한 자세로 날카로운 주장을 쏟아냈다.
특히 탈북자 출신 대학생들은 대체로 햇볕정책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쓴소리를 내놓았다.
김영일(한국외대 정외과)씨는 “햇볕정책은 투자한 돈에 비해 북한의 변화가 미미하다”면서 “인도적이라고 하지만 남한의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면이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는 햇볕정책을 보완하되, 언제나 북과 대화할 문은 열어놔야 한다”면서 “북한이 개성공단 등으로 남한 정부를 압박하는데 조금만 더 인내하면 북한이 백기를 들고 나올 것”이라고 낙관했다.
김윤희(한국외대 중국어과)씨도 “햇볕정책에 얼마나 많은 남한 학생들이 찬성하고 있고 그 내용을 알고 있는지 의문”이라면서도 “북한 체제가 쉽게 무너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명박 정부의 강경론도 조금 위험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방국영(총신대 역사교육과 대학원)씨는 “북한에 무조건 주기만 하는 것보다 외교적으로 유리한 카드를 선점하는게 중요하다”면서 “지금 남북 정권의 기싸움을 너무 비관적이지 않고 낙관적으로 봐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강룡(연세대 교육학과)씨는 “햇볕정책의 순수성은 보완해야 한다”면서도 “햇볕정책으로 남한의 쌀이 북한에 들어오면 쌀값이 내려가 주민들에게 간접적으로 도움이 되는게 현실”이라고 온도차를 보였다.
반면 남측 대학생들 사이에는 햇볕정책을 옹호하면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발언이 잇따랐다.
임우섭(서울대 정치학과)씨는 “햇볕정책은 지원의 범위와 용처 등을 고려해야 하지만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위해 바람직하다”면서 “북한에 대한 지원을 무작정 반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권은비(경희대 법학과)씨 역시 “햇볕정책이 정치적이라고 하더라도 그런 지원이 통일을 준비한다는 점에서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형오 국회의장과 한나라당 황우여, 장광근, 김영우 의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