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촉발된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남북이 사흘간 고위급 접촉을 가졌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마라톤협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고위급 접촉에는 우리측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측은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참석했다. 접촉은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22일 오후 6시 30분에 시작해 10시간가량 진행된 후 한차례 정회, 23일 오후 3시 30분에 다시 시작해 24일 9시 30분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특히 회의 중간에는 양측 수석대표들만 참석한 별도 회의도 열렸으며, 북측은 정회시간마다 수시로 평양과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접촉이 길어지는 이유는 북한 도발에 의한 군사적 긴장과 그 원인에 대한 양측의 의견차가 워낙 큰데다, 협상에 나선 남북 대표들 모두 최고 지도자를 대리해 합의점을 도출해야 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DMZ 지뢰도발과 이에 따른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서부전선 포격 도발 등으로 고조된 한반도 군사적 긴장을 타개할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우리측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에 앞서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와 재발 방지를 위한 후속 조치를 주문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일각에서는 최근의 DMZ 지뢰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뿐만 아니라 5.24조치의 원인이 된 천안함 폭침까지 언급하며 공식 사과를 제시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북측은 DMZ 지뢰도발과 서부전선 포격을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우리측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라고 요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측 민간단체들이 실시하는 대북 전단 살포까지 중지할 것을 요구했을 가능성도 크다.
우리측은 두 명의 부사관이 크게 다친 목함지뢰 도발뿐 아니라 연천지역의 포격에 대한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를 철회하기 어렵고 북한은 최고지도자의 존엄 훼손으로 보는 대북확성기 방송 중단을 최우선 목표로 두고 있어 남북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형국이다.
한편, 남북은 이번 접촉에서 군사적 문제뿐만 아니라 남북 관계 전반에 관한 문제들도 다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측은 이산가족 문제와 북핵 문제, 남북간 군사적 신뢰 조치 등을 거론하며 경색된 남북 관계를 완화시킬 방안들을 제시했으며, 북측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중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5.24조치 해제 등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남북 접촉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도 북한군은 잠수함 50여 척을 이탈시켰고 특수전요원과 공기부양정까지 전방에 배치했으며, 우리군 역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유지하고 한미연합사령부의 대북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 수위를 격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