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11일 북한군의 서북도서 NLL 이남 포격은 연평도에 배치된 음향표적탐지장비 ‘HALO'(Hostile Artillery Locating System)의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 김장수 의원(한나라당)은 20일 국정감사에서 “당시 북한은 5발의 포격으로 연평도에 배치된 음향표적탐지장비 HALO의 능력과 대응방법을 모두 파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 우리 군이 포격 이후 HALO를 이용해 발사음을 청취했다고 밝힌 것은 북한에 HALO의 운영원리, 배치 간격 등을 제공한 것이라면서 군의 성과홍보성 정보공개를 질책했다.
김 의원은 “공개된 제조사 정보, HALO 운용원리, 관축소간 일정거리를 알면 북은 아주 간단한 작업으로 HALO의 능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면서 “HALO 관측소에서 폭음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대처하는 것은 중학생 수준의 물리역학 지식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몇 백억이나 몇 천억짜리 고급 감시정찰무기체계에서 나온 특급정보만 군사비밀이 아니다”면서 “가격이나 규모를 떠나 적이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감시수단이 외부에 노출되면 그 기능발휘가 현저히 제한된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북한에 의한 HALO 무력화를 막는 해법은 감시수단을 중첩운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서북도서에 배치되기로 한 6가지 탐지자산들의 전력화는 2012년 말까지 완료키로 되어 있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903억원의 예산이 배정되어 있다.
그는 “내년 말까지 전력화하기로 되어 있는 전술비행선과 신세기함UAV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어야 한다”면서 “Arthur(신형대포병탐지레이더)를 비롯하여, HALO, 전술비행선, 신세기함, FO용 주야 관측장비, 고성능영상감시체계 등 6가지 감시수단이 중첩 운용되면, 북이 HALO 하나를 무력화시키는 작업을 한다 하더라도 우리 감시 수단의 눈을 피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이어 “서북도서에 6개 탐지수단이 모두 전력화 된 다음 ‘HALO가 발사원점을 발견했다’라는 정보는 누출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