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노무현 정부 당시 비무장지대(DMZ)에 남침용 벙커와 위장용 벙커를 최소 800개가량을 건설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7일 보도했다.
방송은 북한군 ‘상좌'(한국군 대령과 중령 사이) 출신 탈북자 김 모씨의 증언을 인용 “1,500명에서 2,000명가량의 인원이 완전 무장할 수 있는 작전 물자가 벙커마다 들어있다”고 전했다.
김 씨는 “유사시 북한의 게릴라 부대원들이 32kg 전투 배낭을 메고 완전 무장해 비무장지대까지 올 경우 체력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비무장지대에 벙커를 짓고 남침용 작전물자를 보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벙커 안에는 발사관탄과 60mm 박격포탄, 압축 폭약과 각종 탄알 등이 들어 있고, 북측 게릴라 부대의 남침시 한국군 위장을 위해 한국군 군복과 명찰까지 준비했다.
김 씨는 “벙커는 반지하 상태로 만들어졌으며 기존 남침용 땅굴과는 연결되지 않았다”며 “2007년 당시 800여 개에 달했으며, 남측을 교란하기 위해 북측은 이 중 70%를 가짜로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북측은 진짜와 가짜 벙커를 모두 포함해 2008년 초까지 1,000개에서 1,200개가량의 벙커를 완공하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씨는 자신을 “2000년대 초반에 탈북해 남측의 정보사령부에서 2004년 10월부터 3년간 대북 정보원으로 일했다”며 현재는 “북한 민주주의 구축을 위해 활동하는 AIMS USA의 아시아 지역 담당 고문”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미 의회에서 이번 주 수요일에 비공개로 열리는 청문회에 참석해 북한 군부의 남침 야욕과 북한 인권의 실상, 그리고 북한 지도부의 부패상 등에 관해 증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