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부산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8.15 민족통일대회’를 열흘 앞둔 4일 정부.민간 대표단의 전면 불참을 통보하면서 남한 주최측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관계자는 “이날 오전 팩스로 북측위원회의 불참 통보를 받았다”면서 “당국자만 불참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 대표까지 전면 불참하겠다는 통보는 갑작스럽고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3일까지 북측과 공문을 주고 받으며 신변보장 담보, 주석단(귀빈석) 착석문제 등을 협의해왔는데 이튿날 불참 통보가 왔다”며 “북측이 대내외에 불참 의사를 밝힌 만큼 8.15 남북 공동행사는 무산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남측위는 이에 따라 7일 예정된 실무회의에서 8.15행사의 분산 개최 여부를 포함한 향후 대책과 일정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남북이 공동으로 치르기로 했던 8.15 민족통일대회가 무산된 것은 올해로 세번째지만 남측위는 이번 불참 통보에 대해서는 뚜렷한 이유를 찾지 못하겠다며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2004년 열기로 했던 8.15행사는 고(故) 김일성 주석 10주기 조문불허와 탈북자 대규모 입국 문제로, 작년 행사는 북한에 발생한 수재로 열리지 못했다.
또다른 남측위 실무 관계자는 “평양에서 열린 6.15행사가 주석단 착석 문제로 파행된 것을 놓고 남측위 내부에서 책임론이 이는 등 내부적으로 갈등이 불거졌다”면서 “북측도 이를 인지하고 있던 만큼 남측이 행사 분위기 조성에 부족했던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러나 북측이 표면적으로는 을지포커스렌즈 군사훈련 등을 불참 사유로 거론한 만큼 남북이 올해 8.15행사를 분산 개최하더라도 공동문건 채택 등은 가능할 것으로 남측위는 전망하고 있다.
남측위 박지용 총무부장은 “북측이 최근 남한의 정치.사회 등의 분야에서 공동행사를 치를만한 분위기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것”이라면서 “6.15공동선언의 취지와 8.15행사의 의미에 대해서는 북측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공동문건 채택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