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8차 당대회, 1월 1~5일 사이 개최될 듯…신년사 생략될 수도”

통일硏 연례정세전망 기자간담회…"美에 선제적으로 메시지 발신하기 위한 무대로 당대회 활용"

2016년 5월 북한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노동당 제7차 대회 폐막을 경축하는 군중대회에서 주민들이 꽃술을 흔들며 행진하고 있다. /사진=연합

내년 초 열릴 북한의 8차 당대회는 1월 1~5일 사이에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이 나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신년사 부담을 덜고 새로 출범하는 미국 행정부에 선제적으로 메시지를 내려는 의도에서 이 시점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통일연구원(이하 연구원)은 1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2021 한반도 연례정세전망’ 기자간담회 자료집을 통해 “70일 전투 3~4일 후 제7차 대회를 개최했던 지난 전례로 본다면, 1월 1일 또는 1월 2~5일 제8차 대회가 개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먼저 이같이 전망하는 이유에 대해 “연(年) 단위로 정책적 매듭을 짓고 연 단위 사업을 추진하는 차원에서 1월 개최를 결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연 주기로 당대회 총화기간을 설정한다는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의 신년사는 생략될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1년 단위 정책 방향을 담는 신년사의 내용과 당대회에서 다뤄질 내용이 중복되는 문제 때문에 내년은 신년사 발표 없이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대내외 정세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직접 신년사 연설을 하는 것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집단적 결정을 통해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형식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원 측 전망이다.

아울러 연구원은 “굳이 1월 20일 미국 대통령 취임식 즈음에 하는 이유는 ‘선제적인 메시지’ 제시 효과를 노린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며 “불확실한 대외 정세 속에서 대미 메시지를 발신하는 중요 무대로 당대회를 활용하는 차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내용을 보고 사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향후 대북정책 수립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데 무게를 두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미국이 과거와 같은 전략적 인내보다는 협상이 필요하다는 온건·유화적인 메시지를 내도록 유도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또한 연구원은 “대내적으로 겪고 있는 삼중고(제재, 코로나19,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주민 결속을 위한 일련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당대회를 활용하는 측면도 있다”고 언급했다. 주민들의 심리적 이완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긴장감을 유지하기 위한 정치기술 차원에서 당대회 개최 필요성을 느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어 연구원은 자료집에서 “북한은 올해 당 중앙위 전원회의 1회, 당 중앙위 정치국회의 9회, 당 중앙위 정무국회의 2회, 당 중앙군사위원회 4회 등 사안에 따라 수시로 개최하며 당 회의체 중심의 국정운영을 강화하는 행보를 했다”며 “당대회는 당 중심의 국정운영 시스템을 공고화하는 차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홍 실장은 “아마 당대회가 당 중심의 국정운영 시스템을 완성하는, 모종의 정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연구원은 1~2년 사이 북한이 제시한 담론과 조치를 토대로 내년 초 열릴 8차 당대회에서 ▲당의 영도 체계 성과 총화 및 당 기구 개편·조정 ▲인민·국가·발전·당 영도를 강조하는 새 전략노선 채택 ▲새 경제발전계획 제시 ▲핵 비확산 강조 ▲남북합의 이행을 위한 대화 제의 ▲비사회주의·반부패와의 전쟁 선포 등의 주요 내용이 다뤄질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한편, 연구원은 북한의 향후 대미전략에 대해 “2021년 상반기에는 전략적 대미 관망 자세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며 “일정한 관망기를 지나 만약 미국의 신정부가 합의 무계승(무인정), 정책적 무관심, 미온적 협상 태도를 보일 경우 북한의 대미전략은 전면적으로 재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밖에 북한의 대남전략과 관련해서는 “전략적으로 2021년 상반기 상황 관리 차원에서 일정한 남북대화 무드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다”며 “실질적으로 북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군사현안을 우선 의제로 삼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런 행보는 남북관계를 북미관계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로 삼는 차원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홍 실장은 “골든타임은 내년 5∼9월로, 남·북·미가 평화협상을 재개하고 합의를 끌어낼 적기”라며 “최소한 내년 늦은 봄까지는 미국 대북정책 초안이 우리 정부의 입장이 반영되게 나와 골든타임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