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민들의 궁핍함과는 거리가 먼 김정일의 ‘화려한 식탁’을 위한 것이거나 간부들 관리를 위한 선물용 구입으로 보인다. 김정일의 요리사였던 후지모토 겐지는 김정일의 와인저장고에 포도주가 1만병이나 비축돼 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메종 미셸 피카르(Maison Michel Picard)의 소유주인 프란신 피카르는 21일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북한과 1년에 1차례 정도 꾸준히 거래하고 있으며 거래 물량은 적지만 좋은 관계를 유지 중”이라고 밝혔다.
피카르는 “올 7월에도 북한 정부 구매 담당자가 ‘에셰조 그랑크뤼’ ‘샤샤뉴 몽랑셰 프리미에 크뤼’ ‘클로드 부조 그랑크뤼’등 우리 와인중 최고급(high-end) 상품들을 600병 가량 사갔다”면서 “이 와인들의 유럽 소매가는 31~40만 원 정도”라고 말했다.
특히 ‘미셸 피카르’의 ‘코트 드 누이 빌라주(Cote de Nuits-Villages)’는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 당시 오찬에서 김정일이 건배주로 지목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피카르는 “김정일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당시 우리 와인을 지목하여 축배를 들었을때 전세계에서 전화가 빗발쳐 제대로 업무를 볼 수 없었을 정도였다”면서 “그런 일은 일종의 이벤트일 뿐이며 여러 사람이 피카르 와인을 즐기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말했다.
북한과 메종 미셸 피카르와의 관계는 15년 전 파리 주재 북한 대사관 직원이 찾아와 포도주를 만드는 양조장인 와이너리를 둘러보고 시음을 해본 뒤 포도주 15종을 12병씩 사 가면서 거래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