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6자 복귀’ 가능성…韓美-中 대응 주목

김정일과 후진타오 주석의 정상회담 과정에서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선언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先 천안함 진상 규명, 後 6자회담 재개’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한미와 중국간 향후 외교 행보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천안함 사건 이후 한미는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원 중국에 이런 입장을 전달해 왔다. 그러나 김정일이 방중기간 6자회담 복귀 의사를 밝힐 경우 중국이 이를 위한 노력을 재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김정일이 후진타오 주석과 5일 가진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에 나갈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후 주석은 동북아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은 6일 “현재 북한이 처한 상황을 고려해볼 때, 중국의 경제지원은 없어서는 안 될 것”이라면서 “체제 유지에 필요한 중국의 경제지원을 받아내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카드가 6자회담 복귀 선언”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경제지원을 약속받기 위해 김정일이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6자회담 복귀밖에 없다는 것이다.


중국은 천안함 사건 전에는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예비회담을 제안한 바 있으나 천안함 사건 발생 이후 조사 과정에서 북한이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면서 6자회담 재개 노력은 소강 상태를 보였다.


그러나 김정일이 6자회담 복귀 선언에 대해 중국은 결국 장기적으로 6자회담 재개 프로세스를 가동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물론 천안함의 원인 규명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이 한미의 입장을 무시한 채 6자회담 재개 노력을 당장 벌이기 어렵겠지만 그렇다고 마냥 미룰 수도 없는 처지라는 것이다. 


중국의 입장에서는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명백한 증거가 나올 경우를 대비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선수’를 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판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한미는 천안함 원인규명 전에 6자회담을 논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 하고 있어 향후 한미와 중국간 만만치 않은 외교전이 예고된다.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5일 “천안함 조사가 결과가 나온 후 6자회담 대응방향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우리 정부 당국자도 “6자회담 재개도 중요하지만 현 상황에서 회담을 이야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천안함 원인 규명전에는 6자회담을 논의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중국정부의 협조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천안함 사건의 대응조치로 유엔안보리 회부까지 고려하는 있는 상황에서 중국정부의 협조가 가장 절실하다는 것이다. 


외교부가 지난 3일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를 불러 김정일 방중 관련해 유감을 표명했던 일을 두고 한중간 외교적 갈등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자, 6일부터 발빠르게 진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6일  “(한중) 양국 관계에 갈등이나 균열은 없다”며 “현재도 긴밀하게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한중 양국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고, 정부 고위 당국자도 “중국은 우리 정부의 입장을 충분히 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대응과정에서 협조적 자세로 나올 것으로 본다”며 ‘불화설’을 차단했다.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중국과 불필요한 갈등은 이롭지 않다고 판단, 천안함 사건의 과학적·객관적인 조사를 강조하면서 중국정부의 협조를 얻어내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부는 현재 진행중인 천안함 조사가 수주 내 나올 것으로 보고 중국을 비롯한 관련국들에게 결과를 설명하고 6자회담 재개를 포함한 향후 대응방안을 협의할 것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15일부터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와 한중 외교장관 회담이 중국을 설득하는 주 무대가 될 전망이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6일 “한일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천안함 사건과 관련) 자연스럽게 의견교환과 협의가 이루어질 것”이라면서 “또한 별도로 양자간 외무장관회담도 있기 때문에 그런 기회를 통해서도 충분히 논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외교 전문가는 “이번 김정일 방중으로 천안함 대응조치를 위한 중국의 협의를 이끌어 내는데 제동이 걸릴 수 있다”면서 “객관적·과학적 원인 조사도 중요하지만, 긴밀한 협력을 유지해 대 중국 영향력을 이끌어내는 외교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