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012년을 ‘강성대국’ 달성 해로 설정

▲ 북한 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 ⓒ연합

북한은 고 김일성 주석 출생 100주년인 2012년을 ‘강성대국’ 달성의 해로 설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이 ‘강성대국’ 건설의 달성 시점을 5년 후인 2012년으로 잡고 있음을 밝힌 자리는 15년 만에 열린 전국지식인대회에서다.

북한은 1998년 8월 노동신문 정론을 통해 ‘강성대국’이라는 말을 처음 선보이며 이를 김정일 체제의 국가전략 목표로 설정해 추진해왔으나 목표 연도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태복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 겸 비서는 1일 폐막된 이 대회의 개막보고에서 2012년은 김일성 주석이 태어난 지 “100돌이 되는 뜻깊은 해”라고 지적하고, “모든 지식인들은…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선군혁명 총진군의 앞장에서 과감한 투쟁을 벌여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탄생 100돌이 되는 때에는 기어이 강성대국의 대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회주의 강성대국을 건설하는 것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생전의 뜻이었으며 이 땅 위에 국력이 강하고 모든 것이 흥하며 인민들이 세상에 부러움 없이 잘사는 강성대국을 하루 빨리 일떠세워 어버이 수령님의 유훈을 빛나게 실현하시려는 것은 경애하는 김정일 동지의 드팀(흔들림)없는 의지이며 확고부동한 결심”이라고 말했다.

이는 2012년까지는 김정일 체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경제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해 사상, 군사, 경제 3개부문에서 강국을 뜻하는 ‘강성대국’의 달성을 대내외에 선포하겠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은 이미 사회주의의 고수를 통해 사상강국을 달성했고 지난해 10월9일 핵실험으로 군사강국도 달성했다는 입장에서, 올해 신년 공동사설에선 경제발전과 주민생활 향상이라는 경제강국 건설을 핵심 정책목표로 제시하고 이에 모든 역량을 주입할 뜻을 밝혔다.

2000년 신년 공동사설에서 “사상중시와 총대중시, 과학기술중시 노선은 강성대국 건설의 3대 기둥”이라고 밝혔던 북한은 지난해 핵실험 이후부터는 언론매체를 통해 “강성대국의 여명이 밝아 온다”고 주민들에게 선전하고 있다.

“강성대국의 여명”을 반복 강조하는 것은, 앞으로 5년동안 경제문제에 집중해 경제강국만 달성하면 강성대국 달성을 선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전현준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2일 “북한이 2012년을 목표로 부국강병의 대전략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5년이 북한으로서는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북한이 최근 핵문제 해결과 남북관계 및 북미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이를 통해 2012년 ‘강성대국 완성’을 선포할 수 있도록 경제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북한 입장에서 3대과제라고 할 수 있는 안보와 경제, 후계체제 문제 가운데 경제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안보와 후계문제도 풀 릴 수가 없는 실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적대적 환경에 포위된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고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국제정치 환경을 만들겠다는 결심을 한 것 같다”며 “앞으로 북측의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움직임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이 2.13 합의 이행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남북정상회담을 전격 수용한 것 등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러한 ‘전략적 결단’을 내린 데 따른 것이라는 것이다.

북한이 ‘강성대국’ 달성을 선포하는 목표 연도인 2012년은 북한의 후계문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2012년이면 김정일 위원장의 나이가 70세에 이른다. 2012년 ‘강성대국’을 달성할 경우 더 이상 후계문제를 미룰 필요가 없다. 동시에 늦어도 2012년까지는 후계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위해서라도 ‘강성대국’ 달성을 선포할 수 있을 정도로 북한 내외의 정치.경제.안보정세가 안정돼야 한다.

전현준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에서 안정적인 정치 권력이양은 중요한 문제”라며 “앞으로 5년 정도를 기간으로 후계구도를 본격적으로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1980년 이후 열리지 않고 있는 노동당 제7차 대회가 열릴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