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10년은 북한이 본격적으로 후계체제를 구축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이기동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이 주장했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2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연구소 정산홀에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소장 이수훈)가 주최한 ‘최근 북한의 정치동향과 향후 권력체계 전망’ 주제의 포럼에서 “우선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비밀리에 개최하여 후계자를 추대할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2012~2013년 초부터는 포스트 김정일 후계체제의 공고화단계가 될 것”이라며 “북한은 각종 선전수단을 동원하여 후계자의 인격적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우상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또 “김정일 후계체제는 정치체계의 진동과 권력구조의 균열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전략적 선택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김정운 후계설과 관련해 “김정운 후계자 내정설은 그 개연성이 높고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 단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편애설과 상대적 자질우수설, 모계혈통 수순설 등은 의심의 여지가 적지만 현지지도 동행설 등은 김정운 내정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는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김정일 이후 수령절대주의에서) 수령상대주의체제로의 변화는 리더쉽이 약화돼 궁극적으로 수령과 권력엘리트간의 비대칭적 힘의 관계변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수령-당-군대-인민대중간의 운명공동체(gemeinschaft)가 이해관계에 기초한 이익공동체(gesellschaft)로 일정정도 변환이 불가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전현준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북한의 권력동향에 대해 “‘위기관리체제 2기’가 시작되는 금년 들어 김정일을 비롯한 북한 권력엘리트 내에 큰 변동은 없는 것 같다”며 “‘장군절대주의’ 하에서는 권력엘리트 변동이란 큰 의미가 없고, 누구든 ‘교주’인 김정일의 명령에 의해 ‘머슴들’은 그곳에 가서 근무하면 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은 제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통해 ‘선군정치’의 지속을 분명히 했다”며 “오바마 정부의 대북 정책도 부시 2기 정도 수준에 머물 것 같고, 내부 경제난도 단기간 내에 해소될 것 같지 않으며, 남한과의 관계도 단기간 내에 해소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북한의 ‘CEO’ 김정일은 선군정치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 연구위원은 북한의 후계자에 대해 “군부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면서 “김정일의 자녀들은 김일성 가산 보위, 미국과의 대결, 경제난 해소, 대남 투쟁 등에서 역량을 발휘하기가 어려울 것이기 때문에 김정일은 충성심, 경륜, 능력을 겸비한 군 출신 후계자를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김정일이 ‘군부집단지도체제’를 채택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면서 “만의 하나 김정운이 후계자가 된다면 ‘군직책’을 가지고 등장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조명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정일의 후계자는 김정일의 자식 중에 나올 확률이 가장 크지만 김정철과 김정운 중 누가 될것인지는 시간을 가지고 지켜봐야 하고, 김정철이 육체적으로 감당하기 어렵다면 김정운이 될 확률이 90%이상이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