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발생한 대청해전 이후 ‘무자비한 군사적 조치’를 언급하며 긴장상황을 고조시켰던 북한이 언제 그랬냐는 듯 연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를 강조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7일 ‘북남관계 개선은 민족문제 해결의 급선무’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서로 적대시하고 군사적 긴장이 격화되는 속에서는 북남 사이에 전쟁 밖에 일어날 것이 없다”며 “앞으로도 우리는 북남관계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문은 “대화 상대방을 불신하면서 대결을 고취하고 심지어 군사적 도발행위까지 감행하는 상태에서는 북남관계가 정상화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신문은 “북남관계가 개선되는가 아니면 계속 악화되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남조선 당국의 태도 여하에 달려 있다”며 “북남관계가 개선되여 자주통일과 평화번영의 넓은 길이 열리기를 바라는 겨레의 지향, 대화와 긴장완화에로 향한 대세도 바로 보지 못하고 좁은 안목과 구시대적인 관념에 사로잡혀 대결을 고집하는 것은 어리석기 그지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런 망동은 대결분자들에게 반드시 쓰라린 후회와 큰 재앙만을 가져다주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신문은 또 지난 8월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방북 당시 합의된 금강산 및 개성관광 재개, 추석 이산가족 상봉 등 공동보도문의 합의내용을 상기시키면서 “우리의 여러 가지 대범한 조치들은 악화된 북남관계를 개선하고 통일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한 애국애족의 염원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이어 “북남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조국통일을 위한 선결조건이고 민족문제 해결의 급선무”라며 “그것은 6·15통일시대의 요구와 민족공동의 이익으로 보나, 조성된 정세의 요구로 보나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절박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북측의 이러한 태도는 대청해전이 최근 대북지원 및 경협 활성화 요구에 남측이 소극적으로 대하자 이를 압박하기 위한 군사 도발이었다는 해석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