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시설 원상복구는 중대한 실수”

성 김 미국 북핵특사 내정자는 10일(현지시간) “북한이 영변 핵시설의 원상복구를 위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한다면 중대한 실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내정자는 이날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열린 인준청문회에서 “미국은 북한의 핵불능화 프로세스가 다시 제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6자회담 파트너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영변 시설에서 일부 장비가 옮겨진 것 등은 파악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심각한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내정자는 “우리는 북핵 검증과정을 진전시키기 위해 강력한 검증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우리의 파트너 및 북한과 협의 중에 있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북한의 우라늄 농축과 확산활동에 우려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우선순위를 ‘검증체계 구축’에 두겠다는 것을 강조하는 한편, 우라늄농축프로그램과 핵확산 의혹 등에 대한 검증 의지를 다짐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내정자는 또한 ‘김정일 건강이상설’과 관련,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 악화설에 대한 보도를 확인할 정보는 없지만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지도체제가 어떻게 변화되든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향해 계속 나가는 것이 북한에 이익이 된다는 것을 북한이 이해하고 있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6자회담 당사국들과 평양의 리더십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긴밀히 연락을 취하고 있으며, 북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김정일 위원장 건강이상설 보도와 관계없이 우리 관심의 초점은 6자회담의 성과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의 내부 의사결정 과정이 어떻게 되던, 누가 그 과정에 참여하던 관계없이 우리는 성과를 기대한다”면서 “그들은 북핵 회담의 진전을 위해 행동해야 하고 미국뿐만 아니라 나머지 세계와 다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도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