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가 북한 핵실험 다음날인 지난 10일 윤광웅 국방장관 주재로 열린 전군주요지휘관회의에서 ‘한반도 안보구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도발행위’로 간주, 강력 대응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확보한 무기급 플루토늄 양이 최대 50kg에 이를 것으로 보고 북한의 급변 사태 발생에 대한 대비책을 검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에 따르면 회의에 참석한 윤 장관을 포함한 지휘관들은 핵무기 1개를 만드는 데 7~8kg의 플루토늄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사실상 북한이 6~7개의 핵무기를 제조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회의에서는 북한이 만든 핵무기의 무게가 2~3톤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탑재해 공중투하할 수 있는 일류신28(IL-28) 폭격기가 의주와 장진기지에 모두 82대가 배치돼 있다는 분석했다.
회의에서 국방부는 서울 용산이 20kt의 핵무기로 공격 당할 경우 21만 1천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113만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미국의 모의실험 결과를 놓고 논의한 뒤 남북군사당국간 합의사항 재검토 등의 강경 방침을 결정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송영선 한나라당 의원이 공개한 당시 회의 자료에 따르면 그 동안 윤광웅 국방장관과 국방부가 발표한 자료와 차이를 보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
그 동안 국방부는 북한의 핵 능력에 대해 “북한이 1990년대 초 추출한 플루토늄으로 1~2개의 핵무기를 제조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13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김충배 한국국방연구원장이 “북한이 보유한 플루토늄이 핵무기 5,6개를 제조할 수 있는 분량으로 생각된다”고 말하자 이 자리에서 윤 장관은 “국방연구원은 학자들 간의 자료로 얘기하기 때문에 국방부의 공식 견해와 다르다”고 반박했다.
또 당시 회의 자료에 따르면, 국방부는 한∙미간 긴밀한 군사공조체제 유지, 국민안보 불안감 해소, 북한의 추가 도발억제를 위한 군사대비태세 강화 등의 대응방향을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조치사항으로는 남북 군사당국간 합의사항 재검토, 한∙미 정보공조를 대북 감시활동 강화, 주변국 국방장관의 공동협의 채널 구축, 한국 합참의장과 한미연합사령관 간의 상설 군사위원회(MC) 신설 등도 검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