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중국과 미국, 중국과 한국간의 관계를 악화시키기 위해 한미군사훈련을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 연구원은 “한미 군 당국은 이번 훈련이 북한에 강력한 메시지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중국 군 당국은 단순히 그렇게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며 “중국은 천안함 사건에 대한 무력시위 성격인 이번 군사훈련을 계기로 그동안의 지상 위주 한미합동군사훈련이 해상으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만일 이번 훈련을 계기로 해상에서의 한미 간 훈련이 강화되고 정례화된다면 중국의 협조가 필수적인 북한과의 핵협상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브루스 클링너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한반도 전문 선임연구원은 “한미는 현시점에서 6자회담에는 별 관심이 없다”며 “때문에 이번 한미 간 합동군사훈련이 북한과의 핵협상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