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주민 간 건강 격차가 10년 이상 차이나 이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가 20일 발표한 ‘통일 대비 보건의료분야의 전략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평균수명은 남한 평균 수명(81세)보다 11.5세 낮은 69.5세로 조사됐다. 이는 남한의 30년 전 평균수명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평균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주는 기간을 빼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다는 지표인 건강수명도 북한 62세, 남한 73세로 10년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원인에 대한 분석에서도 남북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사망 원인 중 심혈관질환이 33%로 가장 많고 감염성 질환이 25%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남한에서는 감염성 질환은 5%에 불과해 북한의 열악한 위생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 남한은 암 발병이 전체 사망원인의 30%로 나타나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심혈관질환이 29%로 나타났다.
북한 아동의 영양 상태도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5세 미만 아동의 27.9%가 만성 영양결핍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23.7%가 빈혈을 가지고 있다. 또 결핵 발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409명으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동티모르 다음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영아 사망률은 1000명당 26명 사망, 모성 사망은 10만 명당 81명으로 남한에 비해 7, 8배 높은 수치다. 모성 사망은 여성이 임신 중 여러 이유로 사망하거나 분만 후 42일 이내 사망하는 것을 말한다.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통일 이후 기아와 질병 등으로 인한 북한 주민의 대량 남하가 이뤄지지 않도록 북한 전체 인구의 15%로 추산되는 취약계층 355만 명을 대상으로 1차 의료에 중점을 둔 지원·전달 체계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염병 유입과 전파 방지를 위해 탈북 남하 주민을 대상으로 전염병 감시 프로그램을 운영해 고위험자에 대한 격리와 치료가 곧바로 이뤄질 수 있도록 대비하고 접경지역의 의료서비스와 방역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