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퇴로 찾는 중…국면전환 ‘연착륙’ 필요”

정부 고위당국자는 11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6자회담을 통해 평화협정과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힌데 대해 “북한은 먼저 천안함 사건에 대해 사과 또는 잘못을 인정하고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야 6자회담 재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6자회담이 재개되면 실질적인 비핵화가 이뤄져야 하며 북한의 태도에 신뢰성과 진정성이 없다면 6자회담을 열어도 진전을 기대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보리 대응조치 이후의 한반도 정세와 관련, 이 당국자는 “동북아에 이해관계를 가진 모든 나라가 천안함 사태에서 벗어나 정상적 상황으로 가는 게 중요하다”며 “관련국들에게 국면전환할 기회가 제공됐으며 북한도 이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북한도 퇴로를 찾고 있는 것 같다”며 “북한이 외무성 대변인을 통해 6자회담을 언급하고 유엔군사령부의 북미 장성급 회담 제안에 대해 대령급 사전 접촉을 갖자고 제의해온 것은 그런 맥락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을 자꾸 몰아치는 것 보다는 긴장을 완화시키고 중국 등 다른 나라와도 서로 풀 것이 있으면 풀고 전반적인 상황을 연착륙하는 방향으로 끌고가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지금은 더 큰 싸움을 벌이고 확전할 상황은 아니며 근본적으로 상황을 안정시켜야할 시점”이라며 “다만 어떤 수순을 거쳐서 정상화하느냐를 놓고는 국가마다 이견이 있을 수 있어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정부가 그동안 견지해온 ‘선 천안함 대응, 후 6자회담 재개’ 방침에 대해 “천안함 대응의 가장 중요한 내용은 끝났다고 봐야한다”며 “이제 북한이 답할 차례이며 북한에게 공이 넘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또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해 미국, 일본과 우리의 입장에는 차이가 없다”며 “중국은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의 책임이 있으니까 빨리 재개하려고 하지만 회담이 열리려면 6자간에 뜻이 모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