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테러지원국 해제전 핵신고 않해”

북한은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지 않을 경우 완전한 핵신고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그프리드 헤커 전 미 국립핵연구소장이 16일 말했다.

5일간의 북한 방문을 마치고 이날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헤커 박사는 기자들에게 “그들은 이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완전한 신고를 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해커 박사는 이어 북한이 최근 영변 핵시설 불능화 작업을 위한 연료봉 제거 작업 속도를 늦춘 까닭은 다른 6자회담 당사국들이 대북 중유 지원 등 의무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북한 관리들은 핵신고 목록을 제출하기 전 넘어야 할 심각한 장애물들을 발견했으며 다른 당사국들이 (중유 제공 등) 의무사항을 이행할 때까지는 완전한 목록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그는 전했다.

북한 기술진은 총 8천개의 영변원자로 폐연료봉 중 이제까지 1천442개를 인출했으며, 하루 최대 80개의 폐연료봉을 꺼낼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변핵시설 불능화에 따라 공급받기로 한 중유 제공 지연을 이유로 현재 32개만 제거하고 있다고 헤커는 소개했다.

북한 관리들은 영변 핵시설 불능화에 따라 북한이 받기로 한 에너지 지원에 포함된 총 50만t의 중유 중 이제까지 20만t 밖에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공동소장직을 맡고 있는 해커 박사는 미 국무부에서 핵 폐기 전문가로 일했던 조엘 위트, 리처드 루가 미 상원의원의 보좌관인 케이스 루스 등과 함께 북한을 방문, 영변핵시설을 둘러보고 북한 외무부 고위당국자들과 만난뒤 베이징으로 나왔다.

북한 관리들은 그러나 북핵 합의의 이행 지연이 정치적인 문제보다는 기술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으며, 에너지 지원과 다른 문제들이 풀리면 북한측도 합의를 이행할 것임을 다짐했다고 헤커 소장은 전했다.

북한측은 북핵 협상에 대한 미국의 신뢰에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불능화 진척도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그는 평가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