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9일 남한의 일부 전방부대가 호전적인 구호를 내건 것과 관련 보복성전에 나서겠다고 위협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대변인’이라는 이름을 내걸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30일 “북측이 ‘정부 대변인’ 명의로 성명을 낸 것은 처음으로 안다”고 말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이 과거 핵 문제 등과 관련해 ‘정부 성명’을 낸 적이 있지만 이번과 같은 ‘정부 대변인 성명’ 형식은 처음이다. 북한은 1차 핵위기 당시인 1993년, 2차 핵위기 때인 2003년, 1999년 대일수교와 관련 ‘정부 성명’을 통해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 성명’은 대외관계와 관련해 국제사회에 자신들의 입장을 표명할 때 북한이 내 놓는 가장 높은 수준의 성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부 대변인 성명은 정부 성명보다는 한단계 낮은 수준이지만 북한이 처음으로 대변인 성명이라는 형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북한 당국이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그만큼 관련 사안을 중요하게 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김정은 후계체제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북한이 정상적인 국가적 면모를 갖추기 위해 대변인 성명이라는 형식을 취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북한이 그동안 구체적인 실체가 없는 외곽 조직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을 통해 대남 공세를 펴왔지만 김정은 체제에서는 정상국가 체계 하에서 대남관계를 정립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김연수 국방대 교수는 ‘데일리NK’와 통화에서 “북한이 이번 남측 군부대 구호를 심각하게 받아들였다면 국방위 대변인 성명을 통해 대남공세를 펼 것”이라면서 “정부 대변인 성명을 낸 것은 우리도 정상적인 시스템에 의해 입장을 표명한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