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현재 전국적으로 운영 중인 상설시장을 ‘10일 장(10일에 1회 개장)’으로 전환하는 조치를 선포했으나, 주민들의 반발을 예상해 실행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 소식통은 7일 ‘데일리엔케이’와의 통화에서 “현재까지 평양의 시장은 매일 2시에 개장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평소대로 1주 1회 월요일에만 쉰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인민위원회 상품판매 관리소에서 지난 해 시장을 ‘열흘 장’으로 돌리고 수입제품은 일절 못 팔게 한다고 포치(지시)했다”면서 “하지만 장이 안서면 쌀이며 남새(채소)를 구할 수도 없고, 장사하는 사람들은 당장 벌이가 없어지면 배급만 쳐다보는데 지금 국가에서 백성들을 책임질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소식통은 “백성들이 ‘옛날처럼 농민시장으로 돌려 남새나 팔게 하면 우리는 어떻게 사는가’라면서 말들이 많다”며 “주민들 반발이 워낙 거셀 것을 위에서도 아니까 시장 관리소에서도 함부로 열흘 장으로 돌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들여온 의류나 신발, 화장품, 주방 목욕용품 등의 수입 공산품은 시장 내에서 판매에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히려 시장 밖에서 거리 판매(호객 행위)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판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한다.
소식통은 “단속반이 한 눈은 뜨고 한 눈은 감고 단속을 하기 때문에 판매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담배 몇 갑 찔러주면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많다”며 “그러나 올해 식량난으로 형편이 어려워지면서 공산품 판매가 급감한데다 재수 없으면 물건을 빼앗기기 때문에 아무래도 매대에 빈 곳이 늘어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북한 당국은 지난해 10월 시장 운영과 관련해 전국적으로 세 가지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첫째는 현재 상설시장을 열흘장으로 돌리는 것, 둘째는 개인들이 기른 남새, 과일, 고기 등은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지만 수입제품과 국가합영기업소에서 만든 상품은 판매할 수 없다는 것, 마지막으로 전문 장사꾼을 없애기 위해 시장 고정 판매대 제도를 없애고 입장하는 순서대로 판매대 자리를 배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소식통은 이러한 북한 당국의 지시가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소식통은 “그나마 배급을 주는 평양도 주민들 반발 때문에 열흘장으로 쉽게 돌리지 못하는 조건에서 배급이 거의 없는 지방에서 장사를 금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번 조치도 장사 연령 제한 조치나 곡물 판매 금지 지시처럼 실효성 없는 통제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편 소식통은 “평양시는 12월 들어 시내 중심구역은 쌀 90%와 옥수수 10%를 섞어 정량배급 했으며, 사동구역 등 주변 지역은 쌀과 옥수수를 50% 비율로 섞어 배급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