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경제 회생의 발목을 잡고 있는 전력난 타개를 위해 발전소 신설과 함께 기존 발전소를 보수해 전력 생산을 늘리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한은 1990년대 초 소련 붕괴 당시 이미 발전시설이 40년 이상 노후 상태였으나 경제난으로 발전 설비와 부품을 제대로 교체하지 못해 전력 부족의 ’늪’에 빠졌으며 최근 들어 전력난 해소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북한 평양방송은 27일 자강도 희천시가 현재 건설 중인 유중발전소의 공기를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함경남도 덕성군 인민위원회도 새 수력발전소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함경북도 무산군도 최근 새 수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자강도에서는 강계시와 자성, 성간, 장강, 화평, 동신, 위원군이 각각 발전소를 신설하는 등 북한지역 곳곳에서 중소형 발전소 건설이 한창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이 중소형 발전소 건설에 주력하는 것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당시 중소형 발전소를 대대적으로 건설해 전력 문제를 자체 해결한 자강도 강계시 사례를 들며 적극 장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대형 발전소의 경우에는 시설 보수나 가동률을 높여 전력 생산량을 늘리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평양방송은 지난 17일 “동평양발전소가 대보수를 성과적으로 끝냄으로써 겨울철 전력생산의 돌파구를 열어놓았다”고 전했다.
또한 북한 최대의 수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인 평북 수풍발전소와 평남 북창화력발전연합기업소, 함남 허천강발전소 등 대형 발전소에서도 “증산 투쟁”을 벌이고 있다고 북한 언론매체들이 소개했다.
북한이 이처럼 발전소 신설과 전력증산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경제난 지속으로 발전능력이 크게 저하돼 일부가 회복된다해도 산업시설 등에 필요한 전력을 원만하게 공급하기는 여전히 어려울 전망이다.
미국의 노틸러스연구소는 연초 북한의 전력난과 관련, 북한의 잠재 전력 생산능력은 780만kW에 달하지만 실제 생산량은 200만kW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했다.
북한은 이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경수로 제공을 논의한다’고 명시된 2005년 ’9.19공동성명’을 바탕으로 6자회담 합의에 따른 핵시설 불능화에 이은 핵무기 및 핵 프로그램 신고 등 2단계 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경수로 지원문제를 제기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1일 에너지 수요 급증과 지구 온난화로 평화적 핵에너지 개발 움직임이 세계적 추세라며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대용에네르기(대체에너지)를 적극 개발, 이용할 것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