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이산가족상봉 행사 수용 입장을 먼저 밝힌 북한이 오는 17일에서 22일 사이 상봉행사를 열자는 우리 측의 제의에 대해 일주일째 침묵하고 있는 속내는 뭘까?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하면서 우리 측에 상봉 날짜를 편할 때로 잡으라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대북 전문가들 사이에서 북한이 먼저 이산가족상봉 행사를 제의해 놓고 향후 실시될 한미연합군사훈련과 금강산관광 연계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남측이 상봉을 제안한 17일에서 22일 사이는 한미연합훈련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군사훈련과 이산가족 상봉을 연계시키기 어렵다. 북한이 그동안 한미군사훈련을 북침연습 훈련이라며 강하게 반발해 온 만큼 이번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빌미로 군사훈련 중단 및 축소를 주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북한이 한미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하며 우리가 제의한 시기를 바꿔 2월 말이나 3월 초에 상봉행사를 열자고 역제의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시기는 한미군사훈련이 실시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할 수 있다.
물론 북한이 이산가족상봉 수용 입장을 먼저 밝혔고 향후 금강산 관광을 연계시키기 위해서라도 우리가 제의한 날짜를 수용할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 침묵하고 있어 그리 전망이 밝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문순보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2일 데일리NK에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시기를 한미군사훈련 이후로 은근히 희망했는데 우리 정부가 이전에 하자고 해 상봉행사가 훈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됐다”면서 “북한은 내부적으로 상당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어 문 연구위원은 “북한의 입장에서는 우리 정부의 요구(이산가족 상봉 날짜)를 그대로 수용하면 실리가 없고 거절을 한다면 명분을 잃게 된다”며 “북한이 이도저도 할 수 없어 침묵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문 연구위원은 “이산가족 상봉문제도 북한 군부 측의 사후 도발을 위한 명분 쌓기 일수도 있다”면서 “이산가족 상봉을 전제로 한미군사훈련 취소하라는 식의 무리한 요구를 한 뒤 우리 정부가 들어주지 않으면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을 했는데 남한이 받아주지 않았다는 식으로 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무 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의 침묵은 우리 정부를 압박하는 부분이 있다”면서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통해서 금강산 관광 재개나 한미연합훈련 축소 등을 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 연구위원은 “김정은 정권의 경우 내부 의사결정구조가 아직 미숙해 아직 결정이 안날 수도 있다”면서 “북한은 현재 남한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여론을 북한에 유리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계속 우리측에 이산가족 관련 제안을 수정 제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가 제의한 17일에서 22일 사이 상봉 행사를 진행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 이후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 등 관련 시설 점검과 행사 준비 등 2주간의 실무준비가 필요하다. 북한이 이번 주초까지 답을 주지 않으면 우리가 제의한 날짜에 상봉행사 개최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