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6일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문제와 인도적 협력사업을 동시에 협의해야 한다며 인도적 협력사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따라서 27일 이틀째 회담에서는 상봉행사 정례화 범위와 인도적 지원 규모를 놓고 남북간 줄다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북측 대표단은 이날 오후 개성 자남산 여관에서 열린 남북 적십자 수석대표 간 별도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함께 인도적 협력사업 등 모든 인도주의 사업이 함께 활성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남측 회담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대북지원에 관한 여러 가지 요청이 있었다”면서 “북측은 구체적인 인도적 협력사업을 제시했으며 원론적 입장만 밝혔던 오전에 비해 오후에는 이 문제를 부각시켜 얘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북측은 또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위해서 이산가족면회소 문제가 해결돼야 하고 이를 위한 당국간 회담이 조속히 개최돼야 한다고 다시 한번 주장했다”며 “지금은 인도적 협력사업과 금강산관광 문제 두가지가 같이 걸려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북측은 이날 오후 접촉에서 쌀과 비료 등 대북지원과 의약품 지원 등 인도적 사업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함께 활성화돼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보인다.
남측 회담 관계자는 “북측이 요구한 구체적 인도주의 사업 내역은 회담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코멘트하기는 어렵다”면서 “과거 적십자회담에선 (쌀.비료 등) 대북지원과 의약품 지원, 병원 현대화 등 다양한 인도적 사업이 논의된 바 있으며, 이번에도 그런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남측 대표단은 이에 대해 “북측의 입장을 당국에 전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남측 대표단은 또 오후 접촉에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문제 등 오전회의에서 제기한 사업 등에 대한 북측의 호응을 재차 촉구했다.
우리 측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관련, 동절기인 12~2월을 제외하고 내년 3월부터 남북 각각 100가족 규모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매월 1차례 정례적으로 상봉할 것을 제의했다.
아울러 이미 상봉했던 가족들도 남북 각각 50가족씩 매월 재상봉하고 궁극적으로 이산가족들이 원하는 장소와 시기에 상시적으로 상봉할 것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오는 12월부터 매월 각각 5천 명 규모의 생사 주소 확인사업과 내년 1월부터 각각 1천명 규모의 서신교환 사업을 추진할 것을 함께 제안했다.
이외에도 우리 측은 80세 이상 고령 가족들을 대상으로 내년 4월 고향방문 사업을 제안했고, 더불어 국군포로.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전면적인 생사확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회담 관계자는 밝혔다.
반면 북한은 오전회의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 정례화에 대해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를 들고 나와 당국간 실무회담을 조속히 개최할 것을 요구하고 나왔는데, 이에 대해 우리 측은 “당국이 검토 중인 사안으로 검토가 끝나는 대로 입장을 전달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양측은 이날 제기한 사안에 대해 검토한 뒤 27일 둘째날 회담에서 계속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우리측 대표단과 일행은 6시30분경 개성을 출발 서울로 귀환 중에 있으며, 27일 다시 개성을 방문해 둘째날 회담을 이어간다.